경기도가 시내버스 총파업을 대비해 전세·관용버스 투입, 마을버스 연장운행 등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다.
경기도는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 등 시내버스 노동조합의 임금협상 결렬 등으로 오는 4일 첫차부터 시내버스 총파업이 예상됨에 따라 이 같은 대책을 마련했다고 1일 밝혔다.
경기도에 따르면 현재 노조 측은 공공관리제(준공영제) 시급 12.32% 인상, 민영제 시급 21.86% 인상 등을 회사 측에 요구했다. 회사 측은 재정 여건상 노조 측의 임금 인상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3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 최종 조정회의 결렬 시 4일 첫차부터 시내버스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경기도 전체 시내버스 1만355대의 64%에 달하는 6천606대가 파업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는 경기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 시한 만료 전까지 노·사 대표를 설득하고 파업을 우려하는 여론 전달을 통해 파업 실행 직전까지 노·사 간 합의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시·군 및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 등 유관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 24시간 비상근무 체계를 가동할 예정이다.
도는 파업 기간 시·군별 버스 이용 수요가 많은 주요 지역과 지하철역을 탑승거점으로 지정하고 전세 및 관용 버스 422대를 투입, 탑승거점 간 순환 운행 방식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마을버스도 운행 시간을 연장하고 예비 차량을 시내버스 파업 노선에 투입할 계획이다.
아울러 개인‧일반택시 운행을 독려하고 버스정류장(버스베이) 주변에 택시가 집중 배차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의정부‧김포‧용인 경전철도 운행시간 연장 및 증회·증차를 시행하고 수도권 전철의 운행시간 연장 및 증회·증차가 이뤄질 수 있도록 서울교통공사 및 코레일과 협의할 예정이다.
또 경기도버스정보시스템과 도, 시·군 누리집 및 누리소통망(SNS), G버스 TV, 정류소 안내문 등을 통해 파업상황을 신속히 전파하고 대체 운송수단 홍보도 병행한다.
남상은 경기도 교통국장은 “도민들의 대중교통 편의를 위해 노사 간 합의가 조속하게 도출되길 바라고 도는 임금협상 최종 조정시한까지 최선을 다해 중재할 것”이라며 “만일 파업 실행 여부가 확정되더라도 비상수송대책 추진에 만전을 기해 도민 교통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