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문화포럼 ‘제8회 2025 신춘문예’·‘제5회 2025 문학상’ 영어·한국어 국제공모

image
한국현대문화포럼로고 한국현대문화포럼 제공

 

문화체육관광부 인가 사단법인 한국현대문화포럼은 제8회 2025 신춘문예, 제5회 2025 문학상 공모를 영어와 한국어로 통합해 국제 공모한다.

 

20일 한국현대문화포럼에 다르면 공모분야는 창작분야 ▲시 ▲동시 ▲동화 ▲수필 ▲단편소설 ▲중편소설 ▲장편소설 ▲웹소설 ▲희곡 ▲방송드라마 ▲시나리오다.

 

평론분야는 ▲문학평론 ▲연극평론 ▲영화평론 ▲미술평론 ▲웹툰평론 ▲아동·청소년연극평론 ▲뮤지컬평론 ▲아동·청소년 문학평론 ▲실용음악 평론 ▲건축 평론 ▲섬유·패션 평론 ▲축제 평론 ▲문화 평론 ▲미디어·방송 평론 ▲교육 평론 ▲관광 평론 ▲도시·생태 평론 ▲농림축산·수산평론 ▲역사 평론 ▲AI 평론 등이다.

 

다만 AI 창작은 불허한다. AI로 한쪽 언어만 번역이 허용되며 반드시 응모작에 영어와 한국어 어느 쪽을 어떤 AI번역기로 번역했는지 밝혀야 한다. 밝히지 않으면 자동탈락 처리한다.

 

응모작은 시(동시 포함) 10편, 나머지 부문은 각 1편씩으로 오는 12월 12일 오후 6시 마감한다. 응모작은 반환되지 않는다.

 

특히 외부(SNS 포함)에 노출되지 않은 인간의 순수창작품만 응모 가능하다. AI 창작은 어떤 경우도 불허하며 AI 창작이 밝혀질 경우, 당선 취소한다.

 

응모 작품은 이메일로 영어와 한국어를 병기해서 제목으로 응모분야와 성명(필명)을 명기해서 보내야 하며, 국가, 주소, 연락처(국제전화번호)와 이메일, 주민번호(생년월일. 예로 1900년 00월 00일생) 앞자리 6자리, 시와 동시를 제외하고 '작가 의도 및 작품 줄거리'를 반드시 영어와 한국어로 첨부해야 한다. 첨부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탈락 처리된다.

 

작품은 이메일 접수로 원고는 ‘00분야 제8회 2025 한국현대문화포럼 신춘문예공모 응시작’, ‘제5회 2025 한국현대문화포럼 문학상 응모작’으로 한글파일과 영어파일 함께 제목과 응시 분야를 구체적으로 명기해서 원고 첫 장과 마지막 장에 표기해 보내면 된다. 원고 분량과 AI 번역 언어를 반드시 표기해야 한다.

 

당선작은 내년 1월 중 발표하며 시상식은 내년 2월 제3회 AI문화대상과 같이 개최 한다.

 

김장운 회장은 “아마존 세계 출판을 지원할 방침이다”라면서 “AI시대를 맞아 한국어가 영어로 병기되어 세계적인 문학으로 자리매김할 절호의 기회로 삼겠다"고 국제공모 의미를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