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도심 지중화 사업은 감일 동서울변전소 증설 대가 사업이 아닙니다.”
하남시는 원도심 내 지중화 첫번째 사업이 동서울변전소 증설 대가란 소문을 두고 시민들의 이해를 구하고 나섰다.
시는 14일 오후 신장사거리변 동부신협빌딩 문화센터에서 신장전통시장 등 원도심 지중화 사업을 위해 ‘원도심 전선 지중화’ 사업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이현재 시장이 직접 참석해 사업 취지와 효과, 추진 경위 등을 설명했다.
이 사업은 전기·통신시설물의 전주로 보행환경과 도시미관에 큰 지장을 초래하는 원도심 지역의 전선·통신선을 지중화하는 사업으로 도시경관 개선 및 화재 예방 효과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첫 번째 구간인 ‘신장전통시장 전선 지중화 공사’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4년도 전선지중화 그린뉴딜 공모사업에 선정돼 추진하는 도시경관 개선사업이다.
국비와 시비 등 총 49억원의 예산을 투입, ‘GS더프레시’에서 ‘바른병원’ 앞 410m 구간의 공중선 철거 및 지중 전력설비(개폐기)를 신설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과 관련, 시는 2023년도 공모사업에 탈락했으나 2024년도 공모사업에 선정돼 결실을 보게 됐다.
총공사비는 49억원(전선 지중화 27억원, 통신선 지중화 22억원)으로 국비 9억8천만원(20%), 하남시 15억2천만원(30%), 한전 13억2천만원(26%), 통신사 10억8천만원(24%)씩 각각 분담하게 된다.
이런 가운데 시는 감일 동서울변전소 증설 대가로 원도심 지중화를 해줬다는 일부 주장에 대해 사실이 아님을 밝혔다.
그러면서 변전소 증설과는 별개로 2024년도 산업부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사업임을 거듭 확인했다.
시 관계자는 “하남시(49억원) 외 양주시(18억원), 남양주시(13억원), 파주시(37억원), 용인시(21억원) 4개 시도 선정돼 추진하는 것으로 공사비도 한전 부담액은 26%만 투입된 철저히 공모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향후 원도심 전선 지중화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공모사업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