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發) 경기침체 우려로 아시아·유럽 증시가 대폭 떨어진 데 이어, 뉴욕 증시도 2년 만에 최대 폭으로 하락했다.
5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033.99포인트(-2.60%) 내린 38,703.27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60.23포인트(-3.00%) 내린 5,186.33에 거래를 마쳤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576.08포인트(-3.43%) 내린 16,200.08에 장을 닫았다.
이날 다우지수와 S&P 500 지수는 지난 2022년 9월13일 이후 2년 여 만에 가장 크게 폭락했다.
특히 빅테크(대형 기술주)를 중심으로 한 매도세가 이어졌다.
올해 미 증시 강세를 견인해온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가 6.4% 급락했고, 애플은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가 보유지분 절반가량을 처분했다는 소식에 4.8% 하락했다.
앞서 미 노동부는 7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11만4천명 늘고, 실업률이 4.3%로 상승했다고 지난 2일 밝혔다.
흔들리는 일자리 여파로 경기침체 우려가 확산되면서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지수)가 전 거래일보다 12.4% 급락하는 등 ‘블랙 먼데이’ 설이 돌았다. 코스피 역시 이날 전 거래일 대비 8.77% 급락한 2,441.55에 거래를 마쳤다.
유럽 증시 역시 2% 안팎 하락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스톡스600은 2.22% 하락한 486.79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독일 닥스는 1.95% 밀린 17,317.58, 프랑스 CAC40은 1.61% 빠진 7,134.78로 마감했다. 영국 FTSE 지수도 8,008.23로 2.04% 하락했다.
시장의 공포 심리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공포지수'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4년여 만에 최대치로 치솟았다.
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지수(VIX)는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VIX는 전 거래일 대비 15.18포인트 상승한 38.57을 나타냈다. 이는 2020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S&P 500 지수의 경우 이날까지 고점 대비 약 8.5% 하락, 조정 국면 진입을 눈앞에 뒀다. 나스닥 지수는 앞선 지난 2일 고점 대비 10% 넘게 하락하면서 조정 구간에 들어선 바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