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수련병원이 전공의 300여명을 모집(경기일보 23일자 1면)한 가운데, 최종 수련병원 지원자는 2명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의료공백 장기화가 현실화하면서 정부는 ‘전문의 중심 병원’ 등 의료개혁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고 있다.
1일 보건당국에 따르면 인천의 수련병원 11곳이 지난 31일 오후 5시까지 총 340명 규모의 하반기 전공의를 모집한 결과 2명(0.3%)의 전공의가 지원했다.
현재 인천의 전체 전공의 541명 중 미복귀 전공의는 모두 489명(90.3%)에 이른다. 이에 따른 임용포기 및 사직 처리가 이뤄진 인천의 전공의는 모두 138명이다.
앞서 가천대 길병원은 이번 하반기 채용에서 인턴 50명 등 총 101명의 전공의를, 인하대병원은 42명의 인턴 등 전공의 89명을 모집했다. 이 밖에도 국제성모병원은 모두 52명의 전공의 모집에 나서는 등 모두 340명의 전공의 채용 절차를 밟았다.
의료계에서는 이 같은 전공의 지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전문의 배출도 크게 감소할 것으로 보고있다. 당초 정부는 하반기에 지원한 전공의에게 특례를 적용해 내년에 전문의 자격을 딸 수 있도록 할 계획이었다.
‘전공의 없는 상태’가 당분간 지속함에 따라 지역·필수의료에서의 공백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한 수련병원 관계자는 “전공의 없이 병원 진료를 이어갈 수 있도록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당장 병원 차원에서 방법을 마련할 수 없기에 복지부 지침 등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전공의 복귀가 요원해지자 상급종합병원을 ‘전문의 중심 병원’으로 개편하는데 속도를 내고 있다. 또 전문의와 진료지원(PA) 간호사 비율을 늘려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공백을 메울 계획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등 근본적 개혁 추진에 나서겠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