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직위 국장 임명 후... 정책 방향성 구체화 전망 외국인주민 지원센터 구축... 추경 반영돼야 사업 가시화
경기도가 조직개편을 통해 신설한 이민사회국이 다음 달부터 가시화의 분수령을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이민사회국을 이끌 국장 인선을 시작으로 주요 사업 중 하나인 외국인주민 종합지원센터의 예산이 올해 9월 추가경정예산에 반영돼야 정책을 확대할 수 있는 근거가 생기기 때문이다.
4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는 지난달 27일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 개정안’에 대한 경기도의회 가결을 계기로 이달 중순 2개 과, 6개 팀 규모의 이민사회국을 신설했다. 이민사회국은 외국인 정책과 관련한 중장기 계획 수립, 이주민의 사회 통합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특히 개방형 직위인 이민사회국장이 임명돼야 정책의 방향성을 구체화할 수 있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도는 지난 22일 이 자리에 대한 임용시험 공고를 내고 다음 달 2~8일 응시원서 접수 과정을 거쳐 같은 달 중순 인선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이런 가운데 이민사회국의 현재 주요 업무는 이민청 유치와 외국인주민 종합지원센터 구축으로 분석된다. 이민청의 경우 도는 경기연구원을 통해 경제 효과를 분석하는 한편, 안산·김포·고양·화성·광명 등 희망 시·군과 간담회로 유치 논리를 개발할 계획이다.
외국인주민 종합지원센터는 올해 9월 추경에서 관련 예산이 편성돼야 하는 게 관건이다. 약 3억원 규모의 이 예산은 외국인주민 종합지원센터의 사무실 임차료다. 도는 이를 토대로 외국인주민 종합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이용 현황 등을 고려해 앞으로 권역별 설치도 검토할 방침이다. 장소는 물색 중이다.
도 관계자는 “애초 외국인 주민종합지원센터 내 비자 발급 등 원스톱 민원대를 설치하려고 했으나 법무부 등에서 인력 문제를 이유로 난색을 보인다”며 “정부와 협의를 이어가는 한편, 추경에 예산이 반영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