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대를 맞아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복지 사각지대 위기가구를 발굴하겠습니다.”
광명시가 민선 8기 역점적으로 추진 중인 복지 사각지대 대상자 발굴 초기 상담 AI활용사업이 순항하고 있다.
시가 초기 상담에 AI를 활용하는 건 1인 가구 증가와 고령화 등 사회적 위험요인이 늘고 있어 조사인력 부족으로 복지위기 의심 가구에 충분한 상담이 이뤄지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보건복지부는 AI를 활용한 복지 사각지대 발굴 초기상담 시범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시는 2차 시범사업 지자체로 선정돼 이달부터 시행 중이다.
대화형 AI 자동전화시스템을 통해 위기 상황, 욕구 상황 등 초기 상담을 진행한 뒤 심층 상담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대상자에게는 동 행정복지센터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이 직접 연락하는 과정으로 이뤄진다.
대화 내용 및 상담 결과 등은 복지 전산망을 통해 본청 담당 공무원에게 자동으로 전달된다.
기초생활보장제도, 긴급복지지원 등 공적지원과 광명희망나기운동본부, 복지재단 등 민간서비스 연계, 후원물품 지원 등 다양한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해 활용된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은 심층상담 및 복지지원 업무에 집중할 수 있어 효율적인 복지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승원 시장은 “AI 기술을 접목해 초기상담을 활성화하면 지원이 필요한 취약 가구를 발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스마트기술 도입을 통해 복지서비스 업무 효율화 및 촘촘한 복지안전망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우체국을 통한 복지등기 우편서비스, 고독사 위험군을 위한 안전돌봄 IOT시스템인 고독사 예방 안부 확인 스마트돌봄, AI 케어콜 건강관리 등 인적 안전망과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복지 사각지대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