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개발협력센터가 지자체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수행전략을 수립하고 추진체계 개선에 나선다.
21일 인천대 등에 따르면 ODA는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사회발전·복지증진 등을 주목적으로 하는 공적개발원조 또는 정부개발원조를 말한다. 현금과 물자, 서비스를 상환조건 없이 제공하는 무상원조다.
인천국제개발협력센터는 지자체들의 ODA 역할이 증가하는 상황 속에서 개발협력 주관 중앙부처와의 ODA 전략 연계와 사업추진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지역 공공기관은 물론, 기업, 대학과 개발협력수행기관 간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지역 내 시민단체나 기업 등 ODA 참여 파트너기관을 늘려간다는 구상이다.
특히 ODA 규모 증가에 따라 ODA에 대한 우호적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앞서 센터는 인천시 ‘국제교류협력 및 국제도시화 기본계획’의 상임위원회 활동을 통해 인천시 ODA 사업에 대한 의견을 내고 ‘제2차 국제교류협력 및 국제도시화 기본계획’에 국제개발협력센터의 역할을 명시했다.
또, 국무조정실이 발주한 ‘2022년 ODA 시행기관에 대한 기관역량진단’에 인천시가 선정되도록 기여했다. 이를 통해 도서지역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세계시민교육’ 등을 했다.
센터는 재능대, 인하대, 조지메이슨대, 채드윅 국제학교, 인천시의회, 민간기업 등의 개발협력 파트너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도 했다.
이밖에 인스타그램이나 블로그를 통해 ODA를 홍보하며 ODA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
센터는 무상협력 사업 수주 컨설팅을 통해 KOICA IBS/CTS 사업 진입도 지원한다. CTS 사업 진출 희망 기업을 대상으로 CTS 사업 설명과 사업제안서 작성법 컨설팅 프로그램을 진행할 계획이다.
정종혁 센터장은 “인천대학교의 지원과 인천이 지닌 역량을 바탕으로 ODA 추진 체계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