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이 졸업 후 첫 취업에 성공하는 데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11.5개월로 조사됐다.
또 미취업자 5명 중 1명은 3년 이상 일자리를 잡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5월 경제활동인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지난 5월 기준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청년층(15~29세)이 첫 취업까지 소요된 기간은 평균 11.5개월로 분석됐다. 지난해보다 1.1개월 늘어난 수준이면서,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6년 이후 역대 가장 긴 기간이다.
절반가량(47.7%)은 첫 일자리를 잡는 데 3개월이 걸리지 않았다. 하지만 30.0%는 ‘1년 이상’, 9.7%는 ‘3년 이상’ 걸린다고 답했다. 특히 3년 이상 걸리는 비율은 작년(8.4%)보다 1.3%포인트(p) 늘었다.
교육 정도별로 보면 고졸 이하가 지난해 1년 2.8개월에서 1년 5.6개월로 2.8개월 늘었다. 대졸 이상도 8.2개월에서 8.3개월로 늘었다.
최종학교 졸업자 중 지난 5월 현재 취업하지 않은 사람은 2만9천명으로 작년보다 129만명 늘었다.
취업하지 않은 사람을 기간별로 살펴보면 ‘6개월 미만’이 전국 52만5천명으로 40.7%를 차지했다. ‘3년 이상’은 작년(21만8천명)보다 2만명 늘었다. 비중도 17.3%에서 18.5%로 높아졌다.
미취업 기간 주된 활동을 보면 여가활동과 진학준비 등을 포함한 '그외' 활동이 22.1%로 5.9%p 높아졌다. 통계청은 이는 진학준비 비율이 높아진 영향으로 보고 있다.
반면 직업교육·취업시험 준비(-3.1%p), 구직활동(-1.6%p), 그냥 시간보냄(-0.7%p), 육아·가사(-0.4%p) 등은 하락했다. 진학 준비가 증가하면서 미취업 기간과 취업 소요 기간이 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취업시험 준비자는 지난해보다 6만9천명 줄어든 56만5천명이었다. 3년째 감소세다.
준비 분야를 보면 일반기업체가 작년보다 2.4%p 높아진 29.7%로 가장 많았다.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일반직 공무원 준비(23.2%)를 넘어섰다.
이어 ▲기능분야 자격증 및 기타(18.9%) ▲고시 및 전문직(12.7%) ▲언론사·공영기업체(11.8%) 등 순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