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중 성남시자율방재단장 “이웃 안전 실천하는 봉사는 또 하나의 직업”

용인중 성남시자율방재단장. 박용규기자
용인중 성남시자율방재단장. 박용규기자

 

“봉사는 나를 위한 것이 아닌,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곳을 도왔다’는 마음가짐으로 하고 있습니다.”

 

성남시에 거주 중인 용인중 성남시자율방재단장(56)이 14일 경기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봉사 활동이 힘들지 않냐’는 질문에 멋쩍게 웃으며 한 말이다.

 

그는 “10년 가까이 멈추지 않고 꾸준히 이어간다는 점에서 제겐 봉사가 또 하나의 직업이나 마찬가지”라고 했다.

 

500여명의 단원을 둔 성남시자율방재단은 지역의 재난 응급복구 지원·활동, 재난 발생 시 예찰 활동 등 대민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다.

 

용 단장은 우연히 성남시자율방재단에 들어오게 됐다. 자신이 거주 중인 성남 고등동 통장으로 동네 주민들을 위해 일을 하고 있었는데 지인의 소개로 2015년 단원이 됐다. 9년간 자율방재단에 몸담으며 단원, 부단장 등을 거쳐 2022년 12월 단장으로 취임했다.

 

그는 2022년 여름, 성남에는 기록적인 폭우가 내리며 주택·하천 침수로 주민 재산 등에 큰 피해가 있었을 당시 자율방재단원과 함께 이른 아침부터 현장에 출동해 수해복구 작업을 펼쳤다.

 

또 2017년 포항 지진 피해 복구, 2018년 전남 고흥, 경북 영덕 태풍 피해 복구, 지난해 청주 오송 수해복구 현장에 투입돼 주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복귀하는 데 일조했다.

 

이 같은 공로로 용 단장은 경기도자율방재단, 성남시자원봉사센터, 성남시의회에서 재난대책, 자원봉사, 재난관리 유공 표창을 받았다.

 

용 단장은 “저를 비롯해 자율방재단원은 개인 시간을 쪼개 지역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며 “우리 방재단은 성남뿐만 아니라 국내 다른 지역에서도 봉사에 힘을 쏟는다”고 말했다.

 

끝으로 용 단장은 올여름 재난에 대비해 취약지역 일대일 매칭을 통한 예찰 활동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특히 침수가 우려되는 반지하 주택가, 지역 28곳의 지하차도에는 동마다 담당자 1명 이상을 배치해 집중적으로 재난 예방·대응 나선다.

 

이외에도 지역 무더위쉼터 점검활동을 통해 노인 안전을 뒷받침할 예정이다.

 

그는 “성남에서 주민들끼리 서로 도와가는 과정에서 행복함을 느끼고 있다”며 “우리 지역이 더욱 안전하고 살기 좋은 곳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봉사를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