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빅데이터로 복지사각지대 최소화…1천500명 발굴

경기도청. 경기도 제공
경기도청.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빅데이터로 복지사각지대에 놓였던 도민 1천500명을 발굴했다.

 

도는 4월부터 지난달까지 이러한 방법으로 생계 유지에 어려움이 있는 총 1천500명의 도민을 발굴하고 이 중 지원이 필요한 일부 가구에 대해선 복지서비스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도는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복지사각지대 발굴 프로그램을 활용해 의료비를 과다 지출하거나, 금융연체 기록이 있는 노인으로만 구성된 세대 2천700명을 선별했다. 이후 31개 시·군과 전화 또는 방문 등을 통해 이들이 실제로 어려운 상황에 부닥쳤는지를 확인했다.

 

도는 위기 상황에 놓였던 도민 1천500명 중 기초생활보장 25명, 차상위 9명, 긴급복지 19명을 포함해 총 218명에게는 공적 급여를 지원했다.

 

공적 지원 대상에는 해당하지 않았으나 어려운 상황에 놓인 1천282명에 대해선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 민간 자원을 지원하고 신용회복위원회 등 타 기관의 서비스를 연계해 위기를 해소할 수 있도록 도왔다.

 

도는 복지부가 운영하는 복지사각지대 발굴 프로그램을 활용해 위기 징후가 있는 2천명을 추가로 선별해 6월부터 전화 또는 방문 등을 현장 조사 중이다. 다음 달까지 추가 조사를 마친 후 지원이 필요한 경우 공공·민간의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획발굴을 계속할 방침이다.

 

허승범 도 복지국장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획발굴 조사와 함께 관계기관 및 단체와의 협력으로 복지 사각지대를 선제적으로 찾고 있다”며 “위기 이웃을 발견하면 경기도 긴급복지 위기 상담 핫라인, 경기도콜센터 또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로 연락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도는 무더위로 인한 온열질환, 냉방비 부담 증가로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늘어나는 시기인 만큼 월세 취약가구 중 단전, 단수, 단가스, 전기료 체납 등을 토대로 에너지 취약계층을 찾고 지원을 이어갈 방침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