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10.4조원 ‘어닝 서프라이즈’…지난해 동기 대비 1천452%↑

삼성전자 서초 사옥. 연합뉴스
삼성전자 서초 사옥. 연합뉴스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10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내면서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를 기록했다.

 

인공지능(AI) 시장 확대에 따른 메모리 반도체 수요 회복과 가격 상승 등으로 반도체 부문의 실적이 크게 개선되면서 전체 실적 상승을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10조4천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천452.24%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5일 공시했다.

 

삼성전자의 분기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넘은 것은 2022년 3분기(10조8천520억원) 이후 7개 분기만이다.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6조5천700억원)도 뛰어넘었다.

 

매출은 74조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3.31% 증가하면서 2분기 연속 70조원대를 유지했다.

 

D램과 낸드의 평균판매단가(ASP) 상승으로 메모리 반도체 실적이 시장 기대치보다 크게 개선된 것이 주효했다.

 

잠정 실적인 만큼 부문별 실적은 공개하지 않았다.

 

당초 증권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이 4조∼5조원의 영업이익을 낸 것으로 추정했으나, 삼성전자가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성적표를 내놓으며 DS부문 실적 눈높이를 상향 조정하는 분위기다.

 

앞서 1분기에는 DS부문에서 1조9천100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2022년 4분기 이후 5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반도체 업황이 회복되는 가운데 AI 시장 확대로 고부가 메모리 판매가 증가했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체 D램과 낸드의 가격은 각각 13∼18%, 15∼20% 상승했다.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을 담당하는 모바일경험(MX) 사업부는 2조1천억∼2조3천억원 수준의 영업이익을 낸 것으로 예측된다. 2분기가 전통적인 비수기인 데다 D램과 낸드 가격 상승이 원가율 상승으로 이어지며 수익성이 소폭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디스플레이는 애플 등 주력 고객사의 판매 호조로 7천억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낸 것으로 추정된다.

 

영상디스플레이(VD)와 생활가전(DA) 사업부도 에어컨 성수기 효과 등으로 5천억∼7천억원 수준을 벌어들인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5세대 HBM인 HBM3E의 양산 가시화도 관건이다.

 

삼성전자는 현재 HBM3E 8단과 12단 제품을 엔비디아를 비롯한 고객사에 납품하기 위한 품질 테스트를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지난 4일 전영현 DS부문장(부회장)은 취임 후 한달 여만에 ‘HBM 개발팀’ 신설을 위해 대대적인 조직 개편에 나서는 등 경쟁력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