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의 현덕면 환경복합시설 설치 추진에 주민들이 반발(본보 1일자 10면)하는 가운데 시가 백지화하기로 했다.
정장선 시장은 3일 “지역의 미래를 위해 환경복합시설 건립을 추진했지만 많은 오해가 있고, 주민간 갈등도 발생하는 등 부작용이 크다. 민선8기 동안 해당 사업을 추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임기 동안 숙의의 시간을 갖고 쓰레기 문제의 해결방안을 시민들과 함께 모색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시는 지난달 4일 현덕면 일원에 오는 2030년까지 1조922억원을 들여 신규 환경복합시설을 건립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 시설은 하루 평균 생활폐기물 250t, 사업폐기물 300t 등을 소각하고 매립시설에선 생활폐기물 175t, 사업폐기물 300t 등 475t을 묻는 등 32년 동안 총 폐기물 466만4천t을 처리한다.
이에 주민들은 지난 5일부터 대책위를 꾸리고 반발해 왔다.
결국 시는 지난 28일 열 예정이었던 설명회를 취소하고 대상지 선정을 공모방식으로 전환키로 했지만 대책위는 현덕면 행정복지센터 앞에서 주민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결의대회를 열고 반대 의사를 밝혔다.
시 관계자는 “향후 예상되는 쓰레기 대란을 예방하기 위해 지역 폐기물 처리장에 대한 고민은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평택지역 내 하루 발생 폐기물량은 총 472t으로, 이 중 273t만 관내 처리시설인 에코센터를 통해 처리되고 있으며, 나머지는 수도권 매립장 매립(31t), 외부 위탁(168t)을 통해 처리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