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재난 불평등’ 여전, 원도심 중심 취약지수↑

주거환경 개선, 대피공간·풍수해보험 확대 시급

인천 미추홀구 도화동 제일시장 천장에서 빗물이 새 상인들이 점포 앞에 임시방편으로 대야를 놓고 물을 받고 있다. 사진은 기사 본문과 구체적 관련 없음. 경기일보 DB
인천 미추홀구 도화동 제일시장 천장에서 빗물이 새 상인들이 점포 앞에 임시방편으로 대야를 놓고 물을 받고 있다. 사진은 기사 본문과 구체적 관련 없음. 경기일보DB

 

인천 원도심이 신도심에 비해 폭염·폭우 등에 더 큰 피해를 보는 등 재난 불평등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도심의 주거 환경 개선과 풍수해 보험 확대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인천시사회서비스원에 따르면 인천시민들의 신체적 취약성과 사회·경제적 취약성, 거주 취약성 등을 통해 기후위기 취약지수를 산출해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강화군이 0.707로 가장 높았다. 이어 동구(0.677), 옹진군(0.649), 미추홀구(0.640), 부평구(0.562) 순이다. 기후위기 취약지수는 각 취약성의 평균값으로, 높을수록 폭염·폭우·한파 등 기후위기로 인한 재난에 더 취약하다는 뜻이다.

 

반면 송도국제도시가 있는 연수구는 0.252이고, 청라국제도시와 검단신도시가 있는 서구는 0.276으로 신도심은 원도심에 비해 기후위기 취약지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사서원은 이처럼 원도심의 기후위기 취약지수가 높은 이유로 열악한 주거여건과 도시 노후화를 꼽고 있다. 또 65세 이상 어르신이 신도심에 비해 원도심에 많은 점도 취약지수를 높이는 원인으로 보고 있다.

 

이런데도 원도심 지자체들의 기후위기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사업 규모는 각각 다르다. 폭염·한파·폭우 등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강화군은 53개 사업을 펼치고 있고, 미추홀구도 47개 사업을 추진 중이다. 반면 옹진군은 34개, 부평구는 21개 수준이다.

 

특히 군·구의 전체 예산 규모 대비 기후위기 취약계층 지원 사업비는 1%에도 미치지 못한다. 강화군이 0.55%, 옹진군이 0.85%, 부평구가 0.86%로 전체 평균(0.86%) 이하다. 또 시가 기후위기 취약계층·지역에만 지원하는 사업 예산은 국비 7억3천만원이 전부다.

 

이 때문에 지역 안팎에선 주거 환경 개선을 통해 취약계층을 줄이는 등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신상준 인천사서원 부연구위원은 “기후위기 취약계층 대부분이 원도심에 살고 있어 군·구별 예산 추가 투입이나 인천시의 지역별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주거환경 개선 등 적극적 취약계층 지원과 대피공간 마련, 풍수해 보험 확대와 같은 피해 후속 대책에 대한 준비도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사업 대상에 기후위기 취약계층도 대부분 포함해 별도의 지원 사업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여름철 폭염 등에 취약한 시민들을 위한 대비책 확대 등은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