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하 경과원)이 대한민국의 AI 산업 선도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보고서를 통해 정책과제를 제안했다.
경과원은 ‘AI 선도 국가를 위한 경기도의 역할과 정책과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3일 밝혔다. 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가 AI 산업 선도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경기도의 잠재력과 역할을 강조하며 8대 정책과제를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8대 정책과제는 ▲경기 북부 AI글로벌 데이터센터 유치 ▲판교테크노밸리 중심 인공지능 창업생태계 활성화 ▲인공지능 반도체 기업 육성 ▲경기도 행정에 인공지능 도입 확대 ▲중소‧중견기업 인공지능 도입 활성화 ▲도민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AI기술 활용 ▲인공지능 전문인력 양성 ▲경기도 인공지능 전담기관 지정‧운영 등이다.
도는 AI관련 사업체와 인력, 연구개발 역량, 기술 수요, 판교 등 AI 클러스터로 성장할 수 있는 기업 집적지를 갖춘 지역이다. 인구도 가장 많아 AI기술과 서비스가 실증되고 구현되기에 최적의 조건이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AI연구개발(R&D)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으며, 혁신적인 스타트업과 대기업이 공존하는 지역으로서 기술 교류와 협업의 기회가 풍부하다.
강성천 경과원장은 “AI가 국가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AI 선도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도가 AI 전초기지가 돼야 한다”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8대 AI 정책과제를 제안하게 됐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