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이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유치전에서 석패했다.
20일 인천시와 경상북도 경주시 등에 따르면 외교부 APEC 개최도시 선정위원회는 이날 오후 제4차 회의를 열고 현장 실사와 프레젠테이션(PT)에 대한 종합 심사를 통해 개최 도시로 경상북도 경주시를 선정했다. 또 APEC 의장국으로 개최 예정인 주요 회의를 인천시 및 제주도에서 분산 개최하는 방안도 건의할 것을 의결했다.
인천시는 지난달 현장 실사에서 인천국제공항을 통한 교통 여건과 송도컨벤시아를 비롯한 회의장 여건, 인스파이어 리조트 등 5성급 호텔 6곳과 정상급 숙박이 이뤄질 수 있는 프레지덴셜 스위트 41객실이 있다는 점을 강조해 좋은 점수를 받았다. 또 인천 내항에 있는 상상플랫폼을 정상 만찬장으로 제시해 경호·보안에서 압도적 인프라를 가졌다는 평을 받기도 했다.
인천시는 그동안 APEC 정상회의 유치를 위해 시민, 정치권, 경제단체 등이 한뜻을 모아 유치활동을 벌여왔다. 또 유정복 인천시장이 이날 최상목 경제부총리를 만나 APEC 인천 유치에 대한 협조를 구하고, 이달 초 이뤄진 PT에 직접 나서는 등 APEC 정상회의 최종 개최지로 선정받기 위해 온 힘을 다하기도 했다.
하지만 결국 선정위가 경주시를 선정하면서, 정치적인 평가가 이뤄졌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경주시는 외교부가 공개한 APEC 공모 요건에도 맞지 않아 사실상 후보도시 자격이 없는 도시인 데다, 이날 선정위가 일부 위원의 반발에도 별다른 토론을 하지 않고 표결을 강행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앞서 경주시는 정상회의와 각료회의 장소로 화백컨벤션센터를 제시했지만 다른 지역으로 분산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의 공모 요건을 어겼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결국 외교부가 ‘객관적 평가’가 아닌 ‘정치적 평가’를 할 수 있다는 우려(본보 지난 17일자 1면)가 현실화한 것이다.
김동원 인천대학교 지역동행플랫폼 단장은 “외교부의 경주시 결정은 정치적인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합리적 심사를 넘어서는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한 것은 아닌지 의심할 수 있는 대목”이라고 말했다. 이어 “또 인천의 국회의원 등 정치권의 적극적인 인천 유치 활동이 없던 점도 매우 아쉬운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인천시 관계자는 “APEC 정상회의 유치를 위해 300만 시민과 함께 최선을 다했지만, 좋은 결과를 받아들지 못해 너무나 아쉬울 뿐”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정복 인천시장은 21일 이번 APEC 정상회의 유치전 결과에 따른 입장 발표 등을 할 예정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