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생활폐기물 대행 개선…‘공개 경쟁 입찰’ 투명성 Up

성남시청 전경. 성남시 제공
성남시청 전경. 성남시 제공

 

성남시가 수십년 동안 관행처럼 이어온 생활폐기물 수집·운반대행 수의계약 방식을 깨고 공개 경쟁입찰로 업체를 선정해 주목받고 있다.

 

이를 통해 생활폐기물 수집·운반시장 독점체제를 무너뜨리면서 신규 업체 진입 효과를 얻었고 업체 선정 과정에서의 투명성, 예산절감 효과까지 거두게 됐다.

 

12일 성남시에 따르면 지난달 1일 지역 내 구역 22곳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및 가로청소 대행을 맡을 용역을 발주했다. 구역별 용역 금액은 최대 50억~121억원 수준이다.

 

이번 용역은 1995년부터 관행처럼 이어온 수의계약 방식의 일부 업체 독점을 깨고 신규 업체 진입을 독려하기 위해 ‘공개경쟁입찰’로 진행됐다.

 

시는 참여 자격으로 기존 업체는 물론이고 성남에 사업장을 둔 신규 업체 참여가 가능하게 했고 대행업체 선정 후 관련 규정과 사업계획에 따라 장비 및 인력을 갖추도록 했다.

 

이후 시는 기존 20곳, 신규 20곳 등 총 40곳의 업체를 선정한 뒤 지난달 16일 이들 업체로부터 제안서 평가를 진행했다.

 

평가는 가격·정성·정량평가 등으로 진행됐고 최종 22곳의 협상적격업체를 선정했다. 선정된 22곳 업체 중 여섯 곳이 신규 업체다.

 

시는 이번 공개경쟁입찰 도입으로 지역 기존·신규 대행업체 간 선의의 경쟁구도와 예산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현재 구역별 협상적격자와 대행 용역금액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데 낙찰자 선정 방식을 기존 적격심사 방식에서 협상에 의한 계약으로 진행되는 만큼 최소한의 용역 금액을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후 최종 선정 업체들은 다음 달 1일부터 오는 2026년 12월31일까지 구역별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가로청소 대행 업무를 맡는다.

 

시 관계자는 “기존 관행으로 이어 오던 독점 대행체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새로운 대행 방식을 도입했다”며 “대행업체 선정이 협상에 의한 계약으로 진행되는 만큼 협상 적격자와 용역 금액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