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지역 정체성을 담은 산업유산과 근대 건축물을 보전·관리 방안 마련에 나선다.
9일 시에 따르면 최근 ‘제2차 인천시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 수립 용역’ 착수 보고회를 열었다. 건축자산은 국가유산이 아니지만 현재와 미래, 사회·경제·경관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건축물, 공간환경, 기반시설 등을 일컫는다.현재 인천의 건축자산은 인천시민애집, 개항장 이음 1977 등 모두 492곳이다.
시는 내년 5월까지 인천 전역의 건축자산에 대한 기초조사를 하고, 2025~2029년간 건축자산의 체계적 관리와 진흥 기반을 위한 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이 5개년 계획에는 제1차 인천시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에 대한 성과 분석과 개선 방안을 담고, 건축자산 모니터링과 ‘인천 건축자산 목록’을 재구성할 예정이다. 또 2차 인천시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의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 연차별 주요 사업계획 및 세부 계획 수립 등을 담는다. 시는 이를 토대로 ‘한옥 등 건축자산 진흥에 관한 법률’에 맞는 시행계획을 마련할 구상이다.
시는 개항기 및 일제강점기의 역사를 담은 근대 건축물과 공원, 시장과 같은 공간환경, 기반시설 등 건축자산의 범위를 확대할 방침이다. 또 관리방식을 ‘보존을 위한 규제'에서 ‘적극적 활용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전환한다.
박형수 시 건축과장은 “오래된 건축물의 가치가 미래의 자산이 되는 사례를 시민들과 공유하고 건축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