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 도민 청원 3만명 돌파 “분도가 도민의견 반영 의심 평화누리 명칭도 시대 역행”
민선 8기 핵심 사업으로 ‘경기북부특별자치도’(이하 북자도) 설치를 추진 중인 경기도가 지역 새 명칭을 공개 직후 반대 청원에 부딪히는 등 진통을 겪고 있다.
지난 1일 명칭 대국민 보고회 당일 제기된 청원 동의자 수가 하루 만에 도지사 답변 요건 1만명을 훌쩍 넘겼기 때문인데, 특별법 발의와 주민 투표 등 과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첫 단추부터 난관에 봉착한 것이다.
2일 도에 따르면 전날 자신을 남양주시민이라고 밝힌 A씨가 ‘평화누리자치도(경기북도 분도)를 반대한다’고 제기한 도민 청원이 이날 오후 5시 기준 2만9천200여명으로부터 동의를 받았다.
지난 1일 도는 북자도 새 명칭 보고회를 열고 91세 대구 시민이 공모한 ‘평화누리특별자치도’를 대상작으로 선정, 새 명칭으로 발표했다.
김 지사는 보고회에서 “‘평화누리’는 경기북부의 새로운 미래를 상징한다”며 “그간 정치적 의도에 가려 (북자도) 추진이 지지부진했지만 새 이름을 얻고 그 기운으로 더욱 힘 있게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두고 청원인은 “분도가 주민 의견을 반영한 것인지 의심스럽고 평화누리 명칭 또한 시대에 역행하는, 우스꽝스러운 이름”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북자도 설치 시 북부 지역이 더 낙후될 것이라며 설치 반대 이유로 ▲인구 소멸 시대에 행정력 분산이 부적절하고 ▲세금(비용) 낭비 우려가 있으며 ▲분도가 북부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될 근거가 빈약하고 ▲군사·개발 등 중첩 규제가 적용된 지역에 기업 투자 유치가 어려우며 ▲사회간접자본(SOC) 확충에 대한 국가 지원 청사진이 없다는 점을 내세웠다.
해당 청원은 게시 만 하루 만에 2만명 넘는 동의를 획득했으며, 30일 내 1만명 동의 요건을 충족해 김 지사가 청원에 직접 답해야 한다.
앞서 경기도는 경기북부가 가진 성장 잠재력에 걸맞은 명칭이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지난 1~2월 대국민 명칭 공모전을 진행했다.
도는 새 명칭을 동력 삼아 이달 말 개원하는 22대 국회에 북자도 설치 특별법을 제출하고 정부에 주민 투표를 건의하는 등 후속 절차에 들어갈 계획이었다.
도 관계자는 “북자도가 경기 북부와 경기도, 나아가 대한민국 전체 발전을 위한 사업인 점은 변함이 없다”며 “적정한 시기에 청원에 대한 답변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