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제약… 연계 사업 차질 道 “내년부터 본예산 편성 주력”
전국에서 가장 많은 고립·은둔 청년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경기도가 첫 실태 조사와 지원 사업 발굴에 나섰지만 예산 삭감, 정부 사업 유치 실패 등 이중고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도가 편성한 관련 예산 10억원이 도의회에서 절반으로 줄어 향후 조사·지원에 제약이 예상되는 데 이어, 최근 보건복지부 고립·은둔청년 전담 기관 유치에도 실패했기 때문이다.
28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는 오는 6월 지역 고립·은둔 청년 4천명을 대상으로 실태 조사에 나설 예정이다.
특히 도는 올해 초 정부에 전담 기관 ‘청년미래센터(가칭)’ 유치를 신청, 향후 조사 결과를 토대로 각종 연계 사업을 전개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지난 15일 복지부가 인천·울산·충북·전북 등 4곳을 선정하며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청년 인구가 많은 서울, 부산, 광주 등 대도시가 모두 탈락한 점을 비춰보면 복지부가 관련 사업을 막 시작한 지자체에 우선권을 준 게 아닐까 추측하고 있다”며 “전국 최다 청년 인구 보유 지자체로서 정책적 관심이 매우 높다는 점을 피력했는데, 납득하기 어려운 결과가 나와 당혹스러운 상태”라고 설명했다.
실제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도내 19~39세 인구 수는 367만343명으로 전국 최다치를 보이고 있으며, 서울(285만7천647명)과 비교하면 28.44% 더 많다.
이에 도는 서울시가 지난해 1억8천만원을 들여 조사해 도출한 지역 고립·은둔 청년 추정치(12만9천명)보다 더 많은 수가 도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가운데 도의 경우 지난해 편성한 실태 조사비 1억원, 지원사업비 9억원 등 10억원의 예산이 도의회에서 절반으로 삭감돼 추진 과정에서 크고 작은 제약이 뒤따를 전망이다.
도 관계자는 “주어진 여건에서 실태 조사 및 지원 사업 발굴에 나설 예정”이라며 “특히 내년부터는 그간 한시 사업으로 그쳤던 지원 정책이 정례화될 수 있도록 본예산 편성, 도의회 설득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