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가 3기 신도시 등에 맞춰 철도네트워크 중심도시 조성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사통팔달 철도망을 구축하기 위해 광역철도추진단도 신설한다.
28일 시에 따르면 광명·시흥 3기 신도시, 광명문화복합단지, 철산하안주공재건축 등 8개 대규모 개발사업이 예정돼 현재 인구 28만여명이 오는 2030년 46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광명에서 서울, 인천, 시흥, 안산, 안양, 과천 등 외부 도시로의 자동차 통행량이 하루 24만5천대로 예상돼 통행 증가에 따른 교통대책이 시급하다.
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지역에서 추진되거나 계획된 7개 철도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시정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지역에는 신안산선(안산~여의도)과 월곶~판교선(학온~판교) 등이 공사 중이고 ▲광명~시흥선(KTX광명역~신도림) ▲GTX-D 노선(김포~광명~원주) ▲GTX-C 노선(인천공항~3기 신도시~포천) ▲신천~신림선(시흥~광명~신림) 등이 계획 중이며 수색~광명고속철도가 확정됐다.
시는 이들 철도사업이 완료되면 광명에서 서울, 인천, 경기 주요 지역을 10~20분에 이동이 가능하다고 전망한다.
아울러 현재 세 곳인 철도역이 15곳으로 늘어나 철도역세권을 중심으로 한 경제 활성화도 기대하고 있다.
시는 정부의 철도투자 확대 정책 기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7개 철도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 현재 팀 단위의 철도조직을 과 단위로 확대해 가칭 ‘광명철도추진단’도 신설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철도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광명사거리역과 구일역 등지에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고 안내표지를 추가하는 등 기존 철도시설을 개선하기로 했다”며 “광명~시흥선과 GTX 노선이 환승하는 지점에 광역 이동 허브 역할을 할 미래형 복합환승센터도 설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