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 서하남농협 본점 이전… 경기농협 솔로몬 지혜 기대

image

‘1촌1사 농촌사랑운동’, 농업·농촌부흥을 위한 농협의 전사적 운동으로 기억된다. 도농상생운동 한복판에서 일궈온 농협의 역사다.

 

산업화 속에서 한 편으로 밀려나는 산업이 농업이다. 1차산업이자 생명산업으로 무한한 가치를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현실은 녹록잖다. 이런 연유로 상생은 농업·농촌을 위로하는 어휘가 됐다.

 

농협은 언제나 상생을 말하면서 도농상생을 입에 달고 다닌다. 농협 내부 스스로에 대한 상생 자세가 우선돼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1천300여명의 농업인 조합원을 둔 서하남농협이 올 들어 본점 이전을 둘러싸고 홍역을 치르고 있다. 3기 신도시 교산지구(춘궁동)가 수용되면서 본점 철거란 피치 못할 사정에 처해 있다. 토지가 수용된 조합원 중 600여명이 기존 춘궁동 권역을 이탈해 천현동 등 하남농협 권역으로 옮겨 어쩔 수 없는 자구책이다.

 

하지만 소위 업권이란 장벽에 막혀 하남농협에 읍소하는 신세로 전락됐다. 임시 이전 대상권역이 하남농협 구역인 천현동이어서다. 지금까지 영업권 침해사례가 없다며 반발이 심상찮다. 주된 속사정은 신규 고객 창출 등 영업 피해 우려다. 이해 못할 부분도 아니다.

 

이 때문에 서하남농협은 하남농협에 빠른 신청사 준공 등 다섯 가지 당근책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런 상생안은 협의 테이블에조차 못 오르고 있다. 빠른 신청사 준공 후 임시 본점 즉시 폐점, 서하남 조합원 중심의 금융지원, 하남농협 경제사업장 이용 등 상생안 자체를 믿을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서하남농협은 임시 본점 운영을 5~7년 보고 있지만 하남농협은 최소 10년으로 계산하고 있다. 불신의 한 단면이다.

 

이번 사안을 두고 하남농협은 영업 피해를 주장하지만 서하남농협은 생존권 문제로 보고 있다. 본점 이전에 대한 자구책이 그만큼 절실해서다.

 

본점 이전 문제는 농협법에 따라 중앙회 승인사항이다. 중앙회가 결정하면 된다. 하지만 본점 이전 신청에 대해 ‘반려 후 보완’이란 의견을 낸 데는 상호 상생안을 찾자는 의도로 보인다.

 

서하남 본점은 하반기에는 반드시 철거해야 할 형편이다.

 

그렇다고 기존 권역이나 점포를 활용하는 것도 여의치 않아 보인다. 다행히 경기농협이 중재에 나설 모양이다. 보다 진일보한 상생안, 또 신뢰를 담보한 협의안으로 진지하게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경기농협의 현명한 중재와 빠른 판단을 기대해 본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