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불법 웹툰요?” 수상한 통화에 보이스피싱 직감한 20대의 기지

카페에서 대화 듣던 20대, 7천만원 보이스피싱 피해 막아

 

20대 시민이 빠른 판단으로 7천만원의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아 화제가 되고 있다.

 

23일 성남수정경찰서(서장 박영수)에 따르면 지난달 14일 오후 5시께 성남시 수정동 소재 카페에 방문한 시민 A씨는 건너편 테이블에 앉아있던 피해자 20대 B씨가 “불법 웹툰 본적 없다고요”라는 통화 소리를 우연히 들었다. A씨는 보이스피싱을 직감하고 즉시 카페 밖으로 나와 112에 신고했다.

 

성남수정경찰서(서장 박영수)가 보이스피싱 7천만원 피해를 예방한 시민 A씨에게 감사장과 포상금을 전달했다. 수정서 제공
성남수정경찰서(서장 박영수)가 보이스피싱 7천만원 피해를 예방한 시민 A씨에게 감사장과 포상금을 전달했다. 수정서 제공

 

현장에 출동한 경찰은 피해자 B씨가 보이스피싱 조직원과 만나기 위해 소지하고 있던 현금 7천만원(1만원권 100매, 70묶음)과 당시 통화내용과 상황을 청취해 보이스피싱 범죄임을 확인해 피해를 예방했다.

 

경찰에 따르면 보이스피싱 조직원들은 피해자 B씨에게 경찰, 검사, 은행 보안팀을 사칭해 번갈아 가며 전화를 걸었다.

 

경찰을 사칭한 첫 번째 조직원이 피해자에게 “사기꾼이 피해자의 휴면계좌를 대포통장으로 사용했다”며 범죄에 연루됐다는 전화를 했다.

 

곧이어 검사를 사칭한 두 번째 조직원이 “피해자 본인이 대포통장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하면 도와주겠다”는 전화를 걸었다.

 

B씨는 처음 보이스피싱을 의심해 믿지 않았다. 하지만 검사를 사칭한 조직원이 “그런 식으로 나오면 도와줄 수 없다”며 강경한 태도로 나오고, 최근 자신이 휴면계좌를 해지한 사실이 있어 실제로 대포통장으로 사용됐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자 의심이 조금씩 가시기 시작했다.

 

또, 조직원이 사칭한 검사의 이름을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실제로 현직 검사로 근무하고 있어, 자신의 통장이 대포통장에 사용됐다고 믿기 시작했다.

 

조직원은 “피해자 명의 통장에서 돈을 인출해 금감원에 가서 확인만 받으면 된다”고 요구했고, B씨는 7천만원을 인출해 돈을 갖고 오라는 주소를 이동했다.

 

주소가 금감원이 아닌 원룸 건물로 되어 있는 것을 수상히 여긴 B씨는 “그 장소로는 가지 않고 카페에 있겠다”고 한 후 대기했다.

 

B씨에게 은행 보안팀이라고 사칭한 조직원이 다시 전화를 걸어 “지금 현금을 인출한 은행에서 뭔가 잘못됐고, 피해자의 핸드폰이 해킹 당했는데 불법 웹툰을 본적이 있냐”고 물었고 B씨는 “불법 웹툰을 본적이 없다”고 말했다.

 

마침 이 내용을 듣던 A씨가 즉시 신고를 한 것이다. 조직원에게 속아 휴대전화로 원격 조정 앱을 설치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신고가 늦었다면 자칫 큰돈을 잃을 뻔했다.

 

수정경찰서는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한 A씨에게 감사장과 포상금을 전달했다.

 

A씨는 “만약 통화내용을 잘못 들었다면 사과하면 되지만 보이스피싱이라면 돌이킬 수 없는 피해가 생길 수 있다는 생각에 경찰에 신고하게 됐고 피해를 예방하게 돼 다행이다”고 했다.

 

박영수 서장은 “그냥 지나칠 수도 있었는데, 시민이 관심을 갖고 신고해주신 덕분에 큰 피해를 예방하게 됐다. 앞으로도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여 평온한 일상을 지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