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장애인 정책 5개년 계획’ 발표…2028년까지 2조9천215억원 투입

김동연 경기도지사(가운데)가 18일 경기종합노동복지회관에서 열린 제44회 장애인의 날 행사에 참석, 행사 참가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도지사(가운데)가 18일 경기종합노동복지회관에서 열린 제44회 장애인의 날 행사에 참석, 행사 참가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오는 2028년까지 장애인 일자리 지원과 장애 수당 지급을 위해 총 2조9천215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8일 경기종합노동복지회관에서 열린 ‘제44회 장애인의 날’ 행사에 참석해 이 같은 내용의 ‘장애인 정책 5개년 계획’을 발표하고, 장애인 인권헌장을 실천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김 지사가 발표한 장애인 정책 5개년 계획은 올해부터 2028년까지 도가 추진하게 될 장애인 정책을 총괄하는 계획이다. 중앙정부의 제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과 민선 8기 도정 정책을 연계해 마련했다.

 

해당 계획은 ▲장애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스스로 일해서 소득이 증대되는 경기 ▲교육‧문화‧체육‧관광을 마음껏 누릴 수 있는 경기 ▲장애를 이유로 사회적 차별과 불편이 없는 경기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자립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경기 ▲장애인이 건강하고 안전하게 살 수 있는 경기 ▲언제 어디서나 사회적 돌봄이 가능한 경기 등 6대 비전을 중점으로 추진된다.

 

도는 이 기간 장애인의 욕구를 반영한 실질적 장애인 정책 추진을 목표로 장애인 일자리 지원, 장애 수당 지급 등 총 65개 정책에 2조9천215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김 지사는 “오늘은 장애인 차별 철폐의 날”이라며 “오늘 발표한 장애인 5개년 계획은 경기도 장애인 정책에 큰 지침과 방향이 될 것이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 앞으로 장애인 인권헌장의 마지막 13번째 조항에 따라 경기도정을 펴겠다”고 약속했다.

 

장애인 인권헌장의 마지막 13번째 조항은 ‘장애인의 특수한 욕구는 국가정책의 계획단계에서부터 우선 고려돼야 하며, 장애인과 가족은 복지증진을 위한 정책 결정에 민주적 절차에 따라 참여할 권리를 가진다’이다.

 

한편 도는 지난 15일부터 20일까지 360도 장애돌봄주간으로 지정해 장애인 초청 장애 연극 관람 등의 행사를 진행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