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가 고독사 예방대책본부 등 관련 부서를 꾸리고 취약계층 방문제 등을 통해 고독사 줄이기에 올인하기로 했다.
고독사는 가족 등과 단절된 채 생활하다 질환 등으로 임종을 맞고 시신이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 발견되는 죽음이다.
시는 고독한 삶을 막아야 고독사를 줄일 수 있다며 올해부터 본격적인 고독사 예방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다음 달부터 고독사 예방대책본부를 구성해 매월 1회 정기회의를 열어 정책을 제안하고 각계각층의 협력을 강화한다.
고독사 위험군 발굴을 위해선 동별 취약계층 방문제를 시행해 연간 8천가구 이상을 찾아갈 예정이다.
위기가구 발굴을 위해 동 행정복지센터의 기능도 강화한다.
고립 1인 가구의 정서적 지원과 상담 제공을 위해 고립 1인 가구 상담가를 양성하고 집배원이 위기의심 가구에 복지정보 안내문을 배달하면서 위기가구를 발굴하는 복지등기 우편서비스도 신설한다.
이와 함께 위기가구를 신고한 시민을 포상하는 신고포상금제도 도입한다.
스마트돌봄기기를 활용해 위기가구를 모니터링하는 광명마을안전돌보미는 2개 동에서 18개 동으로 확대한다.
위기로 돌봄이 필요한 주민에게 생활, 동행, 주거안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누구나돌봄 서비스도 시행하고 무연고 사망자 유품을 정리하는 특수청소 사업과 저소득 어르신 상조서비스도 진행한다.
가족을 돌보는 18~34세 청년의 생활 안정과 복지 증진을 위해 추가돌봄비와 심리상담비, 자기계발비를 지원한다.
1인 가구를 위한 마음e음 커뮤니티공간을 운영하며 중장년 1인 가구와 보건의료 취약자를 대상으로 주 1회 대화형 인공지능(AI)으로 음성 안부를 확인하는 ‘AI 캐어콜 건강관리사업’을 추진한다.
박준용 복지정책과장은 “복지 도시를 만드는 힘은 서로 손을 맞잡고 응원할 때 더 강력해진다. 앞으로도 민관 협력을 통한 고독사 위험군 발굴과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