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신규 채용 결정요소 1위 '직무 관련 일 경험'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경기일보DB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경기일보DB

 

대기업이 신규 직원을 채용할 때 가장 많이 고려하는 요소로 ‘직무 관련 일 경험’을 꼽았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의 인사담당자(315곳 응답)를 대상으로 지난해 11~12월 ‘2023년 하반기 기업 채용동향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24일 공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35.6%는 신규 채용 결정요소로 '직무 관련 일경험'을 답했다. 다음으로 ▲일반 직무역량(27.3%) ▲전공지식(22.5%) 순이다.

 

앞서 2022년 한양대 산학협력단이 청년들을 대상으로 했던 조사에서는 '직무역량'이라는 응답이 32.1%로 가장 많고 '일 경험' 응답은 12.7%에 그쳤는데, 기업 인사담당자들은 일 경험을 더 중시한 것이다.

 

기업들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취업지원 서비스 역시 '일 경험 기회지원'(76.2%)으로 나타났다. 일경험 방식으로는 '장기(3~6개월) 인턴십, '기업 프로젝트 참여, 성과제출'(34.6%)을 선호했다.

 

실제 채용에서도 직무 중심 채용 경향이 뚜렷했다.

 

기업들 대다수는 향후 '수시 특채'(81.6%)와 '경력직 채용'(70.8%)이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평가 기준으로는 '직무능력·경력 등 직무능력'(96.2%)을 '스펙'(36.2 %)보다 중요하게 봤다.

 

또 기업들은 신규입사자 중 16.1%가 1년 이내 퇴사하며, 퇴사자 중엔 신입이 더 많다고 답했다. 주된 퇴사 사유는 '더 좋은 근로조건으로의 취업'(신입 68.6%, 경력 56.2%)이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