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유건축물 4천여곳 활용해 공간 마련 계획…인구감소 관심지역 지정
경기도가 도내 쇠퇴지역에 장기간 방치된 유휴공간을 정비하고 주민 공동체를 되살리는 작업에 착수한다.
최근 도내 지역 간 소득격차와 인구 불균형 등의 문제가 나오면서 쇠퇴하는 시·군에 활력을 불어넣을 사업 발굴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21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경기도는 이르면 내달 중 ‘공공 유휴공간을 활용한 지역활력 증진방안 연구’에 착수한다. 지방소멸, 인구감소, 경기침체 등에 따른 지역 저성장 문제가 경기도를 비롯한 전국적으로 거론되는 데 따른 대응이다.
이를 위해 도는 31개 시·군 전체 지역에 있는 유휴·저활용 국유재산을 활용하는 방안을 찾아 공간재편 필요성을 도출할 계획이다.
현재 도는 도내 시·군 소유의 국유건축물이 4천여곳으로 파악하고 있다. 지역마다 유휴공간으로 남은 빈 건축물을 시·군과 함께 현황을 조사한 뒤 새로운 주민 활성화 공간 마련 계획을 도출한다는 구상이다.
도는 이 같은 방법으로 도출된 방안을 시·군 특성에 맞는 지역 맞춤형 활성화 사업을 만드는 한편, 중앙정부의 관련 사업과 연계하는 방향으로 지역소멸에 대응할 방침이다.
특히 도는 경기 북부권 유휴 국유재산을 우선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경기 남부권은 인구가 날로 증가하는 반면, 북부권 일부 시·군은 인구감소 등 소멸위기에 놓였기 때문이다.
정부는 가평군·연천군을 ‘인구감소지역’으로, 동두천시·포천시를 ‘인구감소 관심지역’으로 각각 지정했다. 이곳 지역의 노인 비율은 연천군 29.3%, 가평군 28.7%, 포천시·동두천시 각각 22.4%다. 이는 도내 노인 인구 상위 첫째~네번째에 해당하는 비율이다.
이에 도는 인구감소·고령화 위기에 놓인 북부권 시·군과 함께 머리를 맞대 유휴공간을 재편, 생활인구를 끌어올리는 등 사회적 가치를 높인다는 복안이다.
아울러 도가 자체 예산으로 보유한 지방소멸대응기금과 지역균형발전사업 등과 연계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인구소멸 대응, 균형발전을 목적으로 진행되는 연구인 만큼 여러 방안을 열어두고 진행할 계획”이라며 “향후 시·군에 사업 참여를 적극적으로 요청하고, 타 지자체에 롤모델이 될 수 있는 사업을 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