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 다문화 대한민국으로의 변곡점에서 우리는

이지민 경기일보 경제부 기자

image

K-ECO팀으로 약 60일간 시흥·평택·동두천·파주·수원 등 경기도 곳곳에 포진해 있는 신흥 외국인 집주 지역을 찾아 이들과 얘기하고 함께 생활하며 ‘외국인으로 한국에서의 삶’을 조명했다.

 

올해 경기도내 거주 외국인은 약 75만명. 전체 1천363만 경기도민 중 5%, 즉 100명 중 5명은 외국인인 셈이다.

 

해를 거듭할수록 도내 거주 외국인 수는 늘어가고 있지만, 이들에게 적용되는 ‘잣대’는 여전했다. 취재를 위해 방문했던 지역의 원주민, 우리 국민 대부분은 이들이 있어 “불편하다”는 입장이었고 그 기색을 감추지 않았다.

 

도내 거주 외국인들은 대부분 1차 제조업에 종사하며 기간의 뿌리 역할을 하고 있다. 이들은 납세에 대한 의무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 국내 거주 외국인의 개인분 주민세 징수율은 ▲2018년 58.7% ▲2019년 63.4% ▲2020년 64.1%로 증가하는 모습이다.

 

외국인 범죄율은 낮아지고 있다. 경찰청범죄통계에 따르면 외국인 범죄는 2019년 3만6천400건에서 2020년 3만5천390건, 2021년에는 2만9천450건까지 내려왔다. 2021년의 경우 국내에서 발생한 총 범죄 124만7천680건 중 외국인 범죄는 2.36%에 불과했다.

 

경기도는 외국인을 받기 위한 제도적 준비를 꽤 오랜 시간 해 왔다. 경기도의회는 지난 2007년 거주 외국인 지원 조례, 2008년 다문화가정을 위한 조례를 제정, 사회 흐름에 걸맞게 개정을 거듭하고 있다. 각 시·군은 외국인 주민을 대상으로 이중언어 교육과 같은 기초 언어 교육부터 진학 상담, 노무 상담 등 사회에 밀접한 지원책, 정신 심리 상담 프로그램 등이 운영 중이다.

 

이처럼 거주 외국인 관련 제도가 마련되며 이들이 잘 살아갈 수 있는 사회적 기틀이 조성되는 가운데, 우리 역시 변화를 수긍하고 이들과 함께할 ‘다민족 단일국가’를 실현하기 위해 따가운 눈총을 거둬야 할 필요가 있다.

 

우린 다민족 대한민국으로의 변곡점에 있다. 추위가 가시고 햇살이 따사해지는 지금. 우리 눈빛에도 봄이 와야 할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