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농어촌 중장기 발전 추진계획 발표…2033년까지 농업소득·친환경 재배면적 확대

농어촌발전 중장기 프로젝트 ‘혁신 농어업 1번지 추진계획’. 경기도 제공
농어촌발전 중장기 프로젝트 ‘혁신 농어업 1번지 추진계획’.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오는 2033년까지 농업소득 30%까지 늘리고, 친환경 재배면적을 기존보다 20% 확대한다. 아울러 도는 청년농·어업인도 지금보다 4배 수준까지 인력을 양성한다.

 

도는 19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농어촌발전 중장기 프로젝트 ‘혁신 농어업 1번지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혁신 농어업 1번지 추진계획은 올해부터 2033년까지 추진하는 경기도의 중장기 농어업 발전 방안이다. ▲농어업소득 1번지 ▲친환경농업·동물복지 1번지 ▲농수산창업 1번지 ▲농어촌재생 1번지 등 4대 전략별 12대 핵심과제, 34개 세부 사업을 담고 있다. 12대 핵심과제는 민선 8기 경기도가 추진할 역점사업이다.

 

우선 도는 지난 2022년 기준 평균 940만원이던 도내 농업인의 순수 농업소득을 오는 2033년까지 1천222만원으로 282만원(30%) 증대시킬 계획이다. 순수 농업소득은 정부 보조금, 체험 농장 등 부가 소득을 제외한 순수 작물 재배로만 얻는 소득을 말한다.

 

아울러 도는 올 연말 월 15만원씩, 연간 180만원을 지급하는 농어민기회소득도 도입한다.

 

또 농어촌 탄소 감축과 미래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농업 확산을 위해 지난해 기준 5천72㏊ 규모인 도내 친환경 재배면적을 오는 2033년까지 20%(1천14㏊) 확대한 6천86㏊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미래세대 농·어업인 육성과 지원 강화에 나서 지난해 기준 688명과 24명이던 청년 농업인과 어업인을 각각 2033년까지 3천명, 100명 수준까지 늘린다.

 

이외에도 농촌재생지원센터를 설립해 농촌공간계획 수립, 주요 지표 및 현황 조사, 지역협의체 구축, 현장 전문가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등을 지원한다. 지난해 61만명인 농어촌체험휴양마을 체험객을 2033년 740만명으로 수준으로 늘린다는 목표도 세웠다.

 

오병권 도 행정1부지사는 “고령화 심화, 기후위기 등 우리 농어촌은 그 어느 때보다도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활기 넘치는 농어촌, 지속가능한 농어촌을 만들 수 있도록 경기도 혁신 농어업 1번지 추진계획을 착실하게 진행해 달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