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교도소 이전문제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18일 열린 안양시의회 임시회에서 강익수 의원은 시정질문을 통해 “시는 지난 2022년 법무부와 교도소 재건축에 대한 MOU를 체결하고 금방이라도 교도소가 이전할 것처럼 홍보하더니 1년 6개월이 지나도록 아무런 소식이 없다”며 “구치소나 교도소는 모두 교정시설이고 수용시설인만큼 부분 이전은 큰 의미가 없다. 큰 틀에서 시의 교도소 이전은 무엇인가”라고 따졌다.
강 의원은 출자·출연기관 인사에 대해서도 문제를 삼았다. 그는 “기준과 원칙이 무시된 인사를 뜻하는 말로 ‘낙하산 인사’, ‘코드 인사’, ‘보은 인사’, ‘회전문 인사’ 등이 있다. 시가 출자하거나 출연한 기관의 인사의 경우 특정인 내정설이 나도는 등 기준과 원칙이 무너졌다.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이에 최대호 시장은 “교도소 재건축은 잘못된 용어다. 교도소 이전사업이 맞다”며 “구치시설은 일부 부지에 현대화하고, 교도시설은 이전하기로 법무부와 협약을 체결했다. 시와 법무부는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이전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인사 문제에 대해선 “산하 기관 임원으로서 기본적인 역량과 능력 등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리고 채용은 정관과 인사규정을 토대로 심사를 거쳐 채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음경택 의원은 “지난번 시-교육지원청-체육회-학교 간 개방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진행했는데도 학교체육시설의 완전한 개방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31개 동 행정복지센터 개방도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곽동윤 의원은 “시청사 이전과 관련해 시민과 시의회, 집행부, 전문가 등이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돼야 한다”고 제기했다.
최대호 시장은 “안양은 인근 시보다 행정복지센터 휴일 개방이 높은 편”이라며 “다만 학교시설이나 행정복지센터 개방은 현실적으로 안전문제와 사고책임 등에 따른 관리감독 문제가 상존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관련기관과 협의해 해결방안을 찾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청사 이전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위해 도의원, 시의원, 시민단체, 전문가 등 20명이 포함된 ‘안양동반성장 추진위원회’를 구성했다”며 “현재까지 7차례 회의를 통해 사업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했다”고 대답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