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체육인 숙원 해결 눈앞 道, 이달 중 ‘기본계획’ 착수 연말까지 구체적 모델 도출 2030년 첨단 훈련시설 개장
경기도내 체육인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훈련시설 등을 한곳으로 모으는 ‘경기도 선수촌’ 건립이 탄력을 받고 있다.
그동안 경기도직장운동경기부가 전국에서 우수한 성적을 냈지만 선수들을 육성할 체육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나왔던 만큼, 경기도는 ‘국가대표 선수촌’ 같은 시설을 2030년까지 개촌한다는 구상이다.
10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이달 중 경기도 체육계 숙원 해결을 위해 ‘경기도 선수촌’ 건립 기본계획에 착수한다. 도는 경기도직장운동경기부의 효율적인 훈련·운영 등을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첨단화된 훈련시설과 부대시설, 체육회관 등을 갖춘 ‘경기도형 진천선수촌’ 건립을 구상하고 있다.
도는 선수촌 건립을 위해 올해 초 대구시 선수촌과 충북 진천에 위치한 국가대표 진천선수촌을 차례로 방문해 경기지역에 맞는 선수촌을 파악했고, 올 연말까지 구체적인 모델을 도출한다는 복안이다.
현재 도직장운동경기부는 10개팀, 장애인직장운동경기부 6개팀이 구성돼 있다. 경기도체육회와 경기도장애인체육회가 각각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도직장운동경기부가 사용하고 있는 시설 모두 노후 데다 지역별로 분산돼 있어 체육인을 키울 시설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체육계에서 꾸준히 제기됐다. 이 때문에 동계전국체전 20연패, 하계전국체전 17연패를 달성한 도직장운동경기부와 도의 체육 위상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처럼 도의 선수촌 건립은 민선 8기 도의 ‘체육 정상화’와 맞닿았다는 평가다. 도는 지난해 12월 열린 경기도체육상 시상식에서 올해를 ‘경기도 체육 도약의 해’라고 규정했는데, 이 같은 계획에 맞춰 선수촌 건립이 추진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도는 사업 기간과 예산을 줄이기 위해 도유지 등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선수촌 건립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는 대구시 선수촌 사례를 중점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는데, 대구시가 시유지를 활용해 부지 매입 비용을 줄이는 방안으로 선수촌을 건립했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선수촌 건립과 관련해 구체적인 예산 범위를 정하지 않았지만 올해 하반기 내년 본예산안에 선수촌 실시설계 비용 등을 포함할 것”이라며 “선수촌 규모와 입지, 건립 방식을 구체적으로 검토해 사업 기간을 최대한 줄이는 방안을 도출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