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의 행복수준이 10년 전보다 낮아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다만, 도민들은 향후 10년 후에는 행복수준이 높아질 것이란 기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지난해 11월1~5일 도민 2천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기도민 행복수준 실태조사 결과를 담은 ‘경기도 행복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보고서를 7일 발간했다.
행복지표는 도민의 행복수준을 진단하고 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문헌 연구 및 전문가 조사를 통해 9개 영역에서 71개 지표로 평가했다.
이번 조사에서 도민의 현재 행복수준을 100점 만점으로 측정한 결과 60.8점으로 나타났다.
현재 행복수준을 10년 전후(예상)와 비교해 어느 정도라고 묻는 말에는 10년 전 행복수준은 62.9점, 10년 후는 66.7점으로 나왔다. 과거보다 현재의 행복수준이 다소 낮았지만, 미래에는 더 행복해질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1순위로 건강(46.6%)을 꼽았으며 다음으로 경제(34.6%), 가족·공동체 및 사회참여(7.2%), 주거 및 교통(3.9%) 순으로 나타났다.
유정균 연구위원은 “도민의 행복 증진과 밀접하게 연계된 지표가 개발될 수 있도록 행복 지표 개발 과정에 도민 참여를 강화하고 지표의 꾸준한 관리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