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출생아수 또 '역대 최저'…경기도, 출생아 감소폭 최대

출생아 수 역대 최저.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 연관 없음. 경기일보DB
출생아 수 역대 최저.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 연관 없음. 경기일보DB

 

기록적인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면서 지난해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이 역대 최저 기록을 다시 한번 갈아치웠다. 전국에서 출생아 수가 가장 많은 경기도는 출생아 감소폭이 가장 컸던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3년 출생·사망 통계'와 '2023년 12월 인구동향'을 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명으로 전년(24만9천200명)보다 1만9천200명(7.7%) 감소했다. 지난해에 이어 또 다시 역대 최저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2016년(40만6천200명)까지 40만명을 웃돌던 연간 출생아 수는 2017년(35만7천800명) 40만명을 하회한 데 이어 2020년(27만2천300명)과 2022년(24만9천200명) 각각 30만명, 25만명 선이 무너졌다.

 

여자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72명이었다. 전년(0.78명)보다 0.06명 줄며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합계출산율은 2015년(1.24명)을 정점으로 8년째 하락세다. 2021·2022년 각각 0.03명이었던 하락 폭도 지난해 두배 수준으로 커지는 등 하락 속도도 빨라지는 모습이다.

 

지역 별로 살펴보면 경기도의 출생아 수가 6만8천800명으로 가장 많았지만, 전년(7만5천300명) 대비 6천500명(-8.6%) 줄며 감소폭이 전국 시도 중 가장 컸다. 합계출산율 역시 0.77명으로 2022년 보다 0.07명 줄었다.

 

경기도의 경우 꾸준히 인구 유입이 일어나는 곳으로 합계출산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부동산 침체 등 경기 하락의 영향으로 신혼 부부의 경기도 유입이 줄며 출산율에 영향을 끼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통계청 관계자는 “장래인구추계 쪽에서는 올해가 중위 쪽으로 해서 0.68 정도로 보고 있어서 아마 그 전후로 수렴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출산이 좀 더 지연되거나 코로나19 때 혼인 건수가 많이 낮았기 때문에 그러한 영향들이 계속해서 반영된다면 출산율이 현재보다 좀 더 낮아질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