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위기 도민 발굴을 위해 2022년 8월 도입한 ‘긴급복지 핫라인’이 1년6개월 만에 상담 접수 1만명을 넘겼다.
핫라인은 복지 사각지대 속에서 세상을 떠난 ‘수원 세 모녀’ 사건 이후 재발 방지를 위해 신설된 도민 연락망이다.
19일 도에 따르면 지금까지 상담받은 1만명 중 4천286명이 복지 상담을 받았고, 5천714건은 건강보험료 미납 등 복지 외 도 정책을 문의했다.
특히 복지 상담을 받은 4천286명의 경우 50대가 1천48명(24.5%)으로 가장 많았고 ▲‘생계 지원’ 49% ▲의료 15% ▲주거 6.3% ▲채무 8% 등 순으로 도움을 요청했다. 가구 유형별로는 1인 가구가 42%로 가장 많았고, 2인 가구 22%, 3인 가구 13% 등이 뒤를 이었다.
도는 이들 중 긴급복지·국민 기초생활수급·차상위 등 공적 지원 대상자 1천883명에 14억9천만원을 지원했고, 현금·상품권·후원 물품 등 9천760만원 상당의 민간 지원을 연계했다.
현재 도는 경기복G톡, 긴급복지 누리집으로 핫라인 채널을 확대했으며 주거 취약계층이 주로 거주하는 고시원 2천937개소, 쪽방촌 36가구, 무료 급식소 16개소에 긴급 복지 핫라인 홍보물을 배부하는 등 홍보에 주력하고 있다.
그 결과 개설 초기 친인척이 대부분을 차지하던 위기 이웃 제보 비율이 점차 지인, 이웃 등으로 확대, 2022년 말 46%였던 지역 사회 제보 비율은 올 1월 말 기준 58%로 증가했다.
오병권 도 행정1부지사는 “긴급복지 핫라인은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도민들도 손쉽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복지 상담창구”라며 “서비스의 질을 높여 ‘수원 세 모녀 사건’과 같은 비극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