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작품 기간내 미설치… 곰팡이도 문화재단 “수정사항 있어 일정 연기”
안양예술문화재단(이하 문화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안양 공공예술 프로젝트(APAP) 작품관리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존치작품에 대한 부실관리 문제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19일 안양시와 안양문화재단 등에 따르면 APAP는 안양의 지형, 문화, 역사 등에서 작품의 영감을 얻어 도시 곳곳에 미술, 조각, 영상, 디자인, 퍼포먼스 등 공연예술로 지난 2005년부터 3년마다 열리고 있다.
시는 그동안 사업비 280억원을 들여 일곱 차례 APAP 공연예술을 개최해 왔으며 현재 안양예술공원 등에 80여점이 존치돼 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와 안양예술공원에서 열린 지난해 APAP는 휴면스페이스, 에코스페이스, 스마트스페이스 등의 테마로 나눠 전시됐으며 일부 작품은 실내에서 전시되기도 했다. 여기에 든 사업비만 24억7천여만원이다.
문화재단은 지난해 8월25일부터 11월2일까지 제7회 APAP를 마치고 ‘비밀의 숲’, ‘반영산수’, ‘유닛’ 등 작품 3점을 존치하기로 하고 추가 비용 3억8천여만원을 지급했다.
그러나 일부 작품은 기간이 지났는데도 설치되지 않았으며 설치 장소도 작품을 전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허원구 시의원은 “APAP가 끝나고 존치작품을 살펴봤지만 작품 설치 완료 일자가 한 달 이상 지났는데도 작품 일부가 훼손돼 있거나 설치가 안 된 상태였다. 더욱이 APAP 전시 장소인 농림축산검역본부는 바이러스와 곰팡이가 퍼져 있는데도 방역이 안 된 상태였다”고 말했다.
이어 “문화재단은 막대한 예산을 들여 존치작품을 선정, 전시하고 있는데 그동안 예술작품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도시의 흉물이 변해 가고 있다”며 “존치작품들이 애물단지로 전락하기 전에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문화재단 관계자는 “작품 설치는 다 해놨는데 작가의 수정 사항 때문에 불가피하게 마무리를 짓지 못하고 20일 정도 연기된 것”이라며 “외국 작가들이 디테일한 부분에 워낙 민감해 이런 일은 종종 발생한다”고 해명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