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가 ‘첨단반도체 양산연계형 미니팹 기반구축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협력을 강화한다.
18일 용인특례시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16일 제2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를 열어 처인구 원삼면에 들어설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의 ‘첨단반도체 양산연계형 미니팹 기반구축사업’을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으로 선정했다. 과기부는 향후 기술·정책·경제적 타당성 등을 조사 및 분석해 올해 하반기 통과 여부를 결정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시는 산업부 주도로 추진되는 해당 사업의 예타 통과를 위해 긴밀한 협력은 물론 적극적인 대응체계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미니팹 기반구축사업은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의 실증이 가능한 최첨단 미니팹(테스트베드) 구축을 목표로 한다.
미니팹은 개발된 제품의 양산 신뢰성을 검증하는 클린룸(반도체 공정 수행 공간) 내부 시설이다. 12인치 웨이퍼(반도체 재료가 되는 얇은 원판) 기반 최대 10nm급 반도체 최신 공정·성능평가 장비들을 갖출 수 있다. 그동안 업계에선 소·부·장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한목소리로 지원을 요청했던 숙원사업이었다.
사업 기간은 내년부터 오는 2032년까지로 총사업비는 9천60억원 규모이며 국비 3천930억원, 지방비 730억원, 민간 자본 4천400억원 등이 투입된다. 이 중 시는 지방비 730억원 가운데 절반이 넘는 400억원을 오는 2026년부터 오는 2032년까지 지원한다.
이상일 시장은 “용인을 세계 최고의 반도체 중심 도시로 만들기 위해선 미니팹 건설을 통해 소·부·장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반도체 생태계 확대가 매우 중요하다”며 “이 사업이 과기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무사히 통과하도록 산업부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