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3%에서 2.2%로 0.1%포인트(p) 하향 조정했다.
5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이날 ‘중간 경제전망’(Interim Economic Outlook)에서 올해 한국경제가 2.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해 11월 경제전망치보다 0.1%p 낮아진 수치다.
OECD는 세계 성장률 전망치를 2.7%에서 2.9%로 상향 조정한 상황인데, 우리나라 성장률은 소폭 내린 셈이다. 일례로 중국의 성장률은 기존 4.7%를 유지하고, 미국 성장률은 1.5%에서 2.1%로 0.6%p 높여 잡았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성장률로는 최근 한국은행의 속보치 집계(1.4%)보다 낮은 1.3%를 제시했다. 다만 우리나라의 내년도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2.1%를 유지했다.
앞서 올해 국내 성장률을 두고 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2%, 한국은행은 2.1%를 제시한 바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한국 경제성장 전망치는 2.3%다.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3.6%에서 올해 2.7%, 내년 2.0%로 단계적으로 둔화할 것으로 OECD는 예상했다. 올해와 내년 모두 종전의 인플레이션 전망치를 유지한 것이다.
OECD는 이번 중간 전망에서 한국 경제에 대한 별도의 평가를 하지는 않았다.
전세계 경제에 대해서는 “전례 없는 금리 인상의 영향이 예상보다 길거나 크게 나타나면서 경기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면서, “금리인하 여지가 있지만 인플레이션 압력 억제를 위해 당분간 통화정책 기조를 제약적으로 유지하는 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