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암'보다 사망위험도 ↑ 비대상성 간경변증, 산정특례 적용 길 열려

이미지투데이
이미지투데이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도 진료비 부담을 크게 낮춰주는 산정특례 적용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산정특례는 희귀질환자로 확진받은 자가 등록절차에 따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신청한 경우, 진료비의 본인부담률을 10%로 낮춰주는 제도다.

 

대한간학회는 학회 의료정책위원회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전문가 자문과 검토 등을 통해 ‘간 질환에 의한 응고인자 결핍 환자 산정특례 등록 기준’을 마련했다고 5일 밝혔다.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는 간경변증 환자 중 복수, 정맥류 출혈, 간성뇌증, 황달과 같은 합병증을 보이는 환자를 뜻한다.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는 5년 생존율이 3분의 1 이하로 5대 암(위암·간암·대장암·유방암·자궁경부암)보다 사망 위험도가 높다. 한국인 간질환백서에 따르면 2019년 전체 사망자 중에 간경변증 환자의 비율 (2.1%) 은 전체 8위에 올랐다.

 

하지만 간경변증은 환자의 중등도에 따라 합병증의 발생과 의료 비용 부담의 정도가 매우 광범위해 산정특례 적용을 하는 데 대상 환자 선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기존의 산정특례 기준 중 ‘간질환에 의한 응고인자 결핍’은 혈우병과는 다른 질환으로 혈우병의 하위질환으로 분류돼 간경변증 환자가 그 혜택을 받을 수 없었다. 기준 역시 명확하지 않아 비대상성 간경변증과 같은 중증 간질환 환자가 등록되기 어려웠다.

 

이에 국민건강보험공단과 대한간학회와 보건복지부는 산정특례 등록을 위한 적절한 기준을 마련해 지난 1월 ‘간질환에 의한 응고인자 결핍 환자 (D68.4)’라는 산정 특례 등록 기준을 현 상황에 맞게 개정했다.

 

간학회는 “산정특례 등록 기준도 구체적인 응고인자 결핍 기준과 임상적 출혈 기준을 명확히 해 해당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장재영 순천향의대 교수(대한간학회 의료정책위원회 15대 이사)는 “중증 간경변증 산정특례 적용은 학회의 오래된 숙원으로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 중의 일부이겠지만, 이 혜택을 받게 되는 환자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해당 환자들에게 의료비 부담 완화라는 희소식을 드리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