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영향' 서울 인구 10년간 86만명 순유출…상당수 '경기'로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경기일보DB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는 자료 사진. 경기일보DB

 

최근 10년간 80만명이 넘는 서울 인구가 순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가족’, ‘직업’ 등이 주된 이유였다.

 

연합뉴스가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14부터 2023년까지 서울에서 경기·부산·인천 등 다른 시·도로 전출한 인구는 547만2천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다른 시·도에서 서울로 전입한 인구는 461만1천명이었다. 서울에서 다른 시·도로 순유출된 인구가 86만1천명가량이라는 의미로, 순유출을 기록한 전국 10개 시·도 가운데 1위다.

 

image
연합뉴스

 

사유별로 보면 ‘주택’을 이유로 전출을 한 인구가 174만1천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른 지역에 집을 샀거나 전세 계약이 만료되는 이유 등으로 이동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는 셈이다.

 

반대로 주택 때문에 서울로 전입한 인구는 97만2천명에 그쳤다. 주택이 10년간 76만9천명의 순유출을 불러온 것으로 서울에서 인구가 빠져나가는 데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서울의 아파트 매매 실거래 평균가격은 1㎡당 1천397만8천원이었다. 서울에서 25평 아파트를 구하려면 11억5천만원가량 필요하다는 의미다.

 

가격이 가장 낮은 지역인 전남(1㎡당 235만8천원)과는 6배 차이이며, 주변 지역인 경기(642만3천원), 인천(500만원)보다도 2배 높은 가격이다.

 

서울에서 빠져나간 인구는 경기·인천 등 인근으로 이동했다.

 

최근 10년간 서울에서 경기로 전입한 인구가 340만5천명으로 시·도 가운데 가장 많았다. 이 중 주택을 이유로 전입한 인구가 136만4천명으로 ‘가족’(88만8천명), ‘직업’(68만명) 등 다른 사유보다 많았다.

 

서울에서 인천으로 이동한 인구는 42만7천명으로 경기 다음으로 많았다. 사유 중에서는 주택이 14만8천명으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직업’은 서울로 오게 하는 주된 사유였다.

 

10년간 다른 시·도에서 서울로 온 461만1천명 중 전입 사유가 직업인 사람이 164만1천명으로 가장 많았다. 직업을 이유로 서울에서 빠져나간 인구는 134만7천명이었다.

 

직업이 29만4천명의 순유입을 불러온 것으로 서울의 풍부한 일자리가 인구를 유입하는 주된 원인이었다.

 

서울 유입을 불러온 또 다른 요인은 ‘교육’이었다. 교육을 이유로 전입한 사람이 44만6천명, 전출한 인구가 20만1천명으로 24만5천명이 순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