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세대 53가구•50억대 규모
화성시 진안동 다세대주택에서 50억대 전세사기 의심피해가 잇따라 발생했다.
23일 입주민들에 따르면 화성시 진안동 A다세대주택과 진안동 B다세대주택 등지에서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거나 경매 개시 통지서가 발송되는 등 전세사기 의심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건물별 전세 보증금 규모는 A다세대주택이 20가구에 20억여원, B다세대주택이 33가구에 30억여원 등 모두 50억여원이다.
A다세대주택의 경우 지상 5층 규모 20가구의 원룸과 투룸이 복합됐으며 지난해 10월 계약이 만료된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면서 전세사기 피해 의심이 불거졌다.
이 건물은 C씨 단독 소유로 C씨는 지난해 10월31일 개인파산 신청을 냈다가 두달여 후인 지난해 12월1일 취하했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세입자들이 동요했고 전체 세입자들은 전세계약 중도해지서를 작성, 보증금 반환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까지 6가구의 계약기간이 만료됐으며 연말 모든 가구 계약이 끝난다.
하지만 C씨는 보증금 반환능력이 없다며 보증금 반환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관련, 부산광역시 한 경찰서는 C씨 소유 별도 건물의 명의대여 관련 수사를 진행하던 중 C씨의 화성시 진안동 다세대주택 전세사기 의심피해를 파악하고 사기여부도 조사 중이다.
A다세대주택에서 300여m 떨어진 B다세대주택에서도 전세사기 의심피해가 일고 있다.
지상 6층 규모로 33가구 원룸형 오피스텔인 이 건물은 D씨 소유로 지난 1월 건물의 경매개시 통지서가 각 가구에 발송됐다.
이 과정에서 세입자들은 일부 가구의 계약만료에도 전세보증금이 반환되지 않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에 전체 세입자들은 비상대책위를 꾸려 피해 최소화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으며 변호사를 선입하고 집주인을 상대로 고발 등 법적 조치도 준비 중이다.
A다세대주택과 B다세대주택 전세 세입자 E씨(29)와 F씨(27) 등은 “경매통지서를 받고 하늘이 무너지는 줄 았았다. 시 등 공공기관이 대책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호소했다.
C씨는 “세입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논의하고 있지만 현재 상황에선 새로운 세입자를 구해 보증금을 내주는 방안 밖에 없다”고 말했고, D씨는 수차례 전화연락에도 통화가 이뤄지지 않았다.
한편 수원과 평택에서도 다세대주택을 보유한 임대인이 전세보증금 30억원을 돌려주지 않고 잠적했다는 내용의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