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 공용차량 300여대 관리 일원화 시급

하남시청 전경. 하남시 제공
하남시청 전경. 하남시 제공

 

하남시 공용차량의 유지·관리체계가 부서별로 제각각 이뤄져 일원화가 시급하다.

 

부실 정비 등으로 내구연한 단축 등 재산 관리에 허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12일 하남시 등에 따르면 시는 본청을 비롯해 각 행정복지센터가 관리·운영 중인 공용차량은 285대로 차종도 경차와 일반 소형차 및 버스, 특수차량, 전기차 등 다양하다.

 

그러나 시 재산관리 부서가 직접 관리·운영 중인 공용차량은 30여대로 전체 공용차량 중 10%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가운데 내구연한 경과 등으로 차량 교체가 요구될 경우 해당 소유 부서 판단 아래 차량 교체를 위한 예산이 요구되고 있는 데다 운행 도중 크고 작은 고장 발생 시 부서가 공공운영비로 비용을 충당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때문에 공용차량 관리와 운영이 제각각 이뤄져 효율성이 떨어지는 데다 차량 점검이나 고장에 따른 비용 산정 시 적정성 여부도 판단 기준이 모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차량 정비의 경우 관련법에 따라 자동차종합정비소(1급), 소형자동차정비소(2급), 자동차전문정비소(3급) 등으로 구분되면서 고장 여부 등에 따라 등급별 업체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이 등급에 맞는 고장 여부 등을 따지지 않은 채 주변 가까운 정비업체를 찾아 정비나 점검을 의뢰하면서 부실 정비에 따른 추가 비용 발생 등 내구연한 단축 요인이 되고 있다.

 

차량정비업체 관계자는 “가끔 공용차량 정비 의뢰가 들어오지만 상당수가 평소 알고 지내거나 가까운 등급이 낮은 정비업체를 통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공용차량의 경우 고장 여부에 맞는 정비로 내구연한을 제대로 담보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공용차량 유지·관리를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지적에는 공감한다. 다만 이를 위해선 업무 등을 위한 관리인원 확보가 시급한 실정으로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이 많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