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삼자 입장서 주체로 ‘키맨’ 자처... 포럼 개최, 20일엔 국회 토론도 내년 용역 완료땐 시·군 협의 진행... 국토부에 종합계획 반영 건의 앞장 “道가 직접나서 사업 추진 가시화”
경기국제공항 추진 방향을 ‘민간 공항’으로 설정한 경기도가 연구 용역에 이어 포럼과 국회 토론회까지 직접 주도하며 사업 주체로 발돋움했다.
그간 경기도는 ‘수원 군 공항 이전’ 전제 여부를 둘러싼 수원·화성시의 갈등에 ‘제삼자’ 입장을 취해왔는데, “직접 복수 후보지를 선정해 시·군과 협의하겠다”는 방침을 수립하며 새로운 ‘키맨’을 자처한 것이다.
11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경기도는 이날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영진 국회의원(수원병), 염태영 도 경제부지사를 비롯한 도, 시·군 관계자, 학계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국제공항 비전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민선 8기 핵심 공약인 경기국제공항 사업 추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으며, 도가 대외적으로 경기국제공항 공론장을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도는 이번 포럼에서 수도권 항공 수요와 기존 공항 포화에 대응하고 반도체 등 도내 고부가가치 산업을 활성화하려면 남부 지역에 국제공항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모았다. 또 전문가들과는 ▲항공 물류 활성화 방안 ▲배후 시설 개발 방향 ▲도민 참여형 비전 설정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어 오는 20일에는 경기국제공항 아젠다가 등장한 이래 최초로 도가 주최하는 국회 토론회가 열린다.
지역별 국회의원에게 범(氾)도민 공감대 형성을 요청하고 이해관계 주체들과 의견을 교환, 도가 직접 사업 외연 확장에 나서겠다는 행보로 풀이된다.
특히 도는 내년 8월 완료되는 연구 용역에서 경기국제공항 복수 후보지가 선정되는 대로 해당 시·군과 협의를 진행, 국토교통부에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 반영을 건의할 예정이다.
앞서 2020년 국토부가 제6차 종합계획에 ‘경기 남부 국제공항’ 건설을 명시하면서도 ‘지자체간 협의 상황 등 여건을 고려 후 추가 검토하겠다’며 단서를 단 만큼, 지자체 협의까지 선결해 완성도를 기하겠다는 취지다.
도 관계자는 “제6차 종합계획에 경기 남부 국제공항이 명시되면서 그 필요성을 인정받긴 했지만 시·군 유치 의사 접수 또는 협의 단계를 넘어서지 못한 상황”이라며 “경기도가 직접 국제공항 방향을 수립해 공론화하고 후보지별 협의를 진행해 종합계획 반영을 건의한다면 사업이 좀 더 확실하게 추진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도는 내년도 본예산에 국제공항 해외 사례 벤치마킹, 경기국제공항 토론회 및 연구 용역 예산을 올해보다 증액 편성한 상태며 최근 행정 규칙 개정을 통해 전담 부서 업무 영역에서 ‘민군 통합공항’ 조문을 삭제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