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지역 공공기관들의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제도 활용율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5일 경기인천기계공업협동조합에 따르면 인천‧경기지역 공공기관들은 조합을 통한 기업 추천 요청 등 중소기업제품 공동사업 우선구매제도의 활용율이 낮다.
현행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에 의해 수요기관이 요구하는 적정품질, 규격 및 생산능력을 보유한 납품업체를 협동조합에서 복수로 추천하고, 이를 수요기관이 추천업체간 지명경쟁만을 통해 적격 낙찰업체를 선정하는 중소기업 공동사업 우선구매제도가 있다. 이는 업종 기술 현장에 대한 조합의 전문성을 활용해 정부 조달 행정의 효과적 집행은 물론 특정업체에 대한 조달 편중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다.
하지만 인천‧경기지역 공공기관의 이 제도 활용율이 낮다.
인천시는 총 구매 7천161억원중 61.4%인 4천396억원을 중소기업제품으로 구매해 전국에서 가장 낮다. 이는 전국 17개 광역지자체의 평균(78.7%)보다 17.3%p 낮고 전국 공공기관의 중소기업제품 구매비율 75.7%보다 14.4%p 낮다.
인천시교육청은 8천938억원 중 중소기업제품 구매는 7천679억원(85.9%)로 전국 교육청 평균(85.8%) 수준으로 전국 17개 교육청 중 8위다.
또 경기도는 구매 9천23억원 중 6천306억원(69.9%)을 중소기업제품으로 구매했다. 이는 전국 7개 광역지자체 평균은 물론 전체 공공기관 평균보다도 낮은 수치다. 경기도가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중 서울, 제주에 이어 세 번째 규모지만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제도 활용률도 타 지자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다.
경기도교육청의 총 구매액은 2조9천686억원 중 중소기업제품 구매는 2조3천924억원(80.6%)으로 전국 교육청 평균(85.8%)보다 5.2%p 낮은 16위 수준이다.
허예회 조합 이사장은 “중소기업 업계의 안정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의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조합은 이들 공공기관에 중소기업협동조합을 통한 지명경쟁입찰 계약방법으로 중소기업 판로확대를 위해 적극 활용해 줄 것을 건의하고 있다. 이 같은 방안은 인천시 및 경기도의 조례로 제정된 중소기업협동조합의 육성 및 지원에 적용받을 수 있는 사항이다.
현재 공공기관은 중소기업물품 구매액중 기술개발제품을 10% 이상을 구매해야 한다. 기술개발 제품 중 인증신제품(NEP)은 품목별로 20% 이상을 구매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중소기업이 개발한 기술개발제품은 우수조달물품, 우수조달 공동상표지정물품, 신제품인증(NEP), 신기술인증(NET), GS, 성능인증, 성과공유기술개발사업 성공제품, 구매조건부 신제품, 개발사업 성공제품, 민관공동투자 기술개발사업 성공제품, 녹색인증제품, 중소기업 융복합기술개발제품, 산업융합품목, 개발선정품, ICT 융합품질인증제품, 산업융합적합 인증제품, 우수산업 디자인 상품 등이 있다.
허 이사장은 “인천시와 경기도의 모든 공공기관의 구매력을 활용, 지역 경제 활성화를 이루도록 중소기업 제품의 구매 확대를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인천기계공업협동조합은 지난 1962년 시작한 정부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따라 제정된 중소기업협동조합법에 의해 1962년 4월 28일 경기지역 중소기계공업체의 권익을 대변하기 위해 경기도의 제1호 협동조합으로 인가를 받으면서 출범했다.
현재 조합원사는 293사로 수처리 펌프, 냉동공조, 무대장치, 기타 일반기계(운반, 식품가공, 재활용) 등이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기계 제조업 생산 활동을 하고 있다. 조합원사의 연간 생산매출액은 2조335억원, 근로자수는 8천546명이다.
조합은 업종별 조합원사 활성화를 위해 4개 업종 협의회를 두고 있으며, 경기침체 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조합원사를 위해 조합원사 업종별 제품에 대한 생산업체 정보와 제품 설명우수 제품들을 정리하여 수요창출과 함께 제품의 생산제품 판매를 증대하고 조합을 통한 추천제도 및 지도 지원사업을 전개하며 조합원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