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세 이상 10명 중 1명 당뇨병…치료율 꼴찌는 '서울 용산'

질병관리청, 당뇨병 진단 경험율 현황 자료 발표
"균형 잡힌 식사, 규칙적 운동으로 예방·관리해야"

질병관리청 제공
질병관리청 제공

 

지난해 국내 30세 이상 인구의 10명 중 1명이 당뇨병을 진단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치료율이 낮은 지역은 서울 용산구, 대전 대덕구 등 순이었다.

 

질병관리청은 성인 약 23만명을 대상으로 매년 시행하는 ‘지역사회건강조사’를 분석한 ‘지방자치단체별 당뇨병 진단 경험률 현황’을 4일 공개했다.

 

여기서 당뇨병 진단 경험률은 의사에게서 당뇨병을 진단받은 30세 이상 인구 비율을 말한다. 이번 조사는 면접을 통한 설문으로 이뤄져 과소 혹은 과다 추계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먼저 우리나라 30세 이상 국민의 당뇨병 진단 경험률(시·군·구 중앙값)은 지난해 9.1%로, 전년 대비 0.3%포인트(p) 늘었다.

 

당뇨병 진단 경험률은 2017년 8.1%에서 2018년 7.9%로 한 차례 감소했을 뿐 최근 10년간 꾸준히 증가세다.

 

당뇨병 진단 경험이 있는 이들의 전체 치료율은 지난해 91.8%를 기록했다. 이 비율은 2018년부터 90%를 웃돌아 대체로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 2020부터 2022년까지 평균 시·군·구별 당뇨병 진단 경험자의 치료율은 서울 용산구(59.5%)가 가장 낮았다. 그 다음으로 ▲대전 대덕구(66.4%) ▲서울 동대문구(68.7%) ▲대전 서구(69.8%) ▲전북 김제시(72.6%) ▲경북 군위군(75.9%) 등이 이어졌다.

 

반면 부산 강서구(96.7%), 인천 남동구·경북 성주군(각 96.6%), 경남 거창군(96.4%) 등의 치료율은 높은 편이었다.

 

[질병관리청 제공]
[질병관리청 제공]

 

질병청은 당뇨병을 예방·관리하기 위해 적정한 체중 및 허리둘레를 유지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할 것, 균형 잡힌 식단을 가질 것 등을 권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당뇨병은 작년 기준 우리나라 사망 원인 8위로, 조기사망과 장애에 따른 질병 부담이 높은 질환”이라며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주민의 당뇨병 예방·관리를 위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고 전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