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 감염예방 위한 개인위생수칙 준수 당부
질병관리청이 실시하는 전국 2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218개) 대상 표본감시 결과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입원환자가 최근 4주간 102명에서 226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또 최근 4주간(10월 15일~11월 11일) 감염증 입원환자 수가 627명으로 지난해 동기간 196명보다 3배 이상 높게 측정됐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Mycoplasma pneumoniae)에 의한 급성 호흡기 감염증으로 기침, 재채기 등을 할 때 나오는 비말(호흡기 분비물)로 전파되는 제4급 법정 감염병이다.
증상으로는 발열, 두통, 콧물, 인후통 등 일반적인 감기 증상과 유사하나, 한번 증상이 발생하면 약 3주간 지속 후 회복된다. 다만 인플루엔자 및 다른 호흡기 감염증과 중복 감염이 발생 시 일부 사례에서 중증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3~4년 주기로 유행하고 있으며 2015년 1만2천358명, 2019년 1만3천479명의 환자가 입원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입원환자의 79.6%가 소아를 포함한 학동기 아동(1~12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소아 및 학령기 아동의 감염예방을 위한 개인위생수칙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당부했다.
더불어 14일 소아 감염 전문가 자문회의와 16일 시도 보건과장 회의를 개최해 최근 발생상황을 공유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으며 향후 유행 증가를 대비한 국내 항생제 수급 관련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전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은 예방 백신이 없어 개인위생수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하기에, 올바른 손씻기와 기침 예절을 준수해야 한다”며 “학교나 유치원, 어린이집 등 공동생활을 하는 공간에서는 식기, 수건, 장난감등의 공동사용을 자제하고 소아, 학령기 아동들의 호흡기 증상 발생 여부를 관찰해 적시에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