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치소에 수용됐다가 병원 치료 중 달아난 김길수(36)의 도주극이 사흘째 이어지면서 구치소 직원들의 안일한 대처에 대한 비판이 나온다. 경찰은 그가 특수강도 범행 당시 강탈한 7천여만원을 도피자금으로 쓸 경우, 도주극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수사망을 확대하고 있다.
6일 수사당국에 따르면 김씨는 지난 4일 오전 6시20분께 안양시 동안구 한 병원에서 진료받던 중 달아났다. 그는 당시 화장실 사용을 핑계로 수갑 등 보호장비 해제 조처를 받은 뒤 빈틈을 이용해 도주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구치소 직원들은 이로부터 1시간 여가 흐른 뒤인 오전 7시20분께에서야 112에 신고했다.
이에 경찰 안팎에서는 구치소 측이 ‘왜 김씨의 도주 사실을 바로 신고하지 않았느냐’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범인 도피 사건에서는 무엇보다 신속한 신고 및 수사 착수가 핵심이어서 시간이 흐를수록 범인에게는 유리하고, 수사기관에는 불리한 상황이 연출되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경찰은 그가 특수강도 범행 당시 강탈한 7천여만원을 도피자금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홍기현 경기남부경찰청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과거 범행으로 김씨가 빼돌린 현금이 어디에 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며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법무부는 이날 김씨 검거에 결정적인 제보를 하면 현상금 1천만원을 지급하겠다는 수배 전단을 배포했다. 전날 공지한 현상금 500만원이 하루 만에 2배로 오른 셈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