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서울 편입 공론화 반대 여론 높아…“실현까지 첩첩산중”

김포시민단체 등 정치적 이용말라...부정적

김포시청사 전경. 김포시 제공

 

김포시의 서울 편입 공론화가 본격화된 가운데 반대 여론도 높아지고 있다.

 

정부가 서울 확장 억제책을 펼치고 있는 만큼 선거철 이슈에 불과하다는 지적에선데, 경기도 역시 “김포시의 일방적 주장”이라며 입장 발표 등 대응을 예고하고 나섰다.

 

30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김포시가 서울시로 편입되기 위해서는 경기도·김포시·서울시 지방의회 동의를 얻거나 주민투표를 통과해야 한다.

 

또 일련의 과정 후에는 국회가 관련한 법률도 제정해야 한다. 서울시에 편입되려면 앞으로 거쳐야 할 절차들이 많다는 대목으로, 총선을 염두에 둔 이슈라는 지적에 무게가 실리는 대목이다.

 

그러나 김병수 김포시장은 과거 일부 지역이 서울로 편입된 사례를 들면서 서울시 편입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1963년 양동·양서면이 서울시로 편입돼 각각 양천구와 강서구 등에 포함됐다. 1975년에는 오정면이 부천시로, 1989~1995년 계양·검단면이 인천시로 편입됐다.

 

김포시는 특히 경기도가 추진 중인 경기북부특별자치도(북자도)가 설치되면 북자도와 경기도에 모두 연접하지 못해 도내 ‘외딴섬’이 된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경기북도에 포함될 고양·파주시 등 10개 시·군과는 한강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고, 경기북도를 제외하고 남도지역과는 서울 강서구와 인천 계양구 등이 가로막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김포시는 서울시 편입 관련 다음 달 도심·농촌 주민들과 관계기관 등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준비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시는 구체적인 횟수를 정하지 않고 수시로 간담회를 열면서 서울 편입과 관련한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다음 달 지방자치·행정분야 전문가들을 초청해 서울시 편입의 정당성을 다루는 토론회도 연다.

 

그러나 김포시의 서울시 편입 추진에 대해 30일 경기일보 취재 결과 김포시민들의 반응은 대체로 부정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김낙구 걸포동 주민대책위원장(63)은 “김포 토박이로 검단은 인천으로 넘어갔고 김포공항 부지도 많이 빼앗긴 상황에서 서울로 편입을 논하니 황당하다. 특히 주민들한테 설명하고 공론화를 거쳐야 하는데 아무런 얘기도 없었다. 지금까지 김포는 문화와 역사를 이어오고 김포인들이 대를 이어 살고 있는데 굳이 서울로 편입한다고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민단체 관계자는 “김포시는 자족도시로 만들 것인지를 고민해야 하는데 상황이고 시장 스스로도 70만 도시를 바라보고 자족도시로 가겠다고 했는데 갑자기 내년 총선이 다가오니 서울 편입을 얘기하고 있다. 아무리 생각해도 총선 이슈밖에 안 된다”며 “서울시로 편입되면 집값도 오르고 교육, 문화, 주거 문제 등을 교묘하게 자극해 정치적 이득을 키우려는 술책”이라고 지적했다.

 

김포시의회 내부에서도 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절차와 순서가 잘못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 편입 주장이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출마 예정자로부터 나왔다는 점에서 선거철 의제라는 비판도 제기됐다.

 

배강민 김포시의원은 지난 20일 열린 시의회 본회의에서 “김포시는 서울시 편입이라는 중차대한 일을 결정하면서 단 한 번이라도 시민의 의견을 정중히 묻지 않았다. 행정구역 개편은 총선을 앞두고 말부터 던져놓으면 알아서 진행되는 무 썰듯 쉬운 일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병수 김포시장은 “김포가 서울로 간다면 서울은 바다를 품게 돼 항구도시가 될 수도 있고 접경지에서 대북 사업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서울시는 한강 하구를 포함해 한강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김포의 서울 편입에 긍정적인 입장”이라고 밝혔다.

 

반면, 김포시가 소속된 경기도는 “북자도 관련 김포시의 ‘외딴섬’ 논리는 김포시의 일방적인 주장”이라고 일축했다.

 

앞서 지난 27일 김동연 지사 역시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전화인터뷰에서 김포시 서울 편입에 대해 “고려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고 현실성도 없다”고 선을 그은 바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이날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경기도는 북자도 추진 초기부터 지금까지 김포시 편입을 고려하지 않아왔다”며 “어디에도 연접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은 일방적인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현재 김포시 주장과 국민의힘 당론 채택 방침에 대한 경기도의 입장을 준비 중”이라며 “김 지사가 해외 출장을 마치고 귀국하는 대로 대응에 나설 예정”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