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영향평가 평가協 심의결과 공개
김포시가 추진 중인 친환경 자원회수센터(광역소각장) 조성사업이 잰걸음을 하고 있다.
공모에 참여한 후보지 3곳에 대한 입지평가가 본격화한 가운데 전략환경영향평가의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심의 결과가 공개됐다.
4일 김포시에 따르면 시는 광역소각장 입지 선정을 위한 환경영향평가협의회의 심의 결과(전략환경영향평가 항목 등의 결정 내용)를 최근 시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고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위한 초안 작성에 들어갔다.
환경영향평가협의회의 심의 결과는 환경영향평가의 항목들로 후보지 3곳 중 최적지를 선정하는 핵심 사항이다.
적합 판정을 받은 후보지는 대곶면 대벽리 후보지 2곳(797번지 일원 5만8천277㎡, 690-61번지 일원 6만3천358㎡), 양촌읍 학운리(923-4번지 일원 4만1천724㎡) 등이다.
결정된 환경영향평가 내용은 대상 지역과 평가항목, 범위, 방법 등으로 주민 의견을 담아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을 작성한다.
환경영향평가 대상 지역은 소각장 설치에 따라 자연환경, 생활환경 및 사회·경제 환경에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후보지별 입지 특성 및 환경적 현황을 고려해 설정됐다. 평가항목에 따라 후보지와 후보지로부터 0.5㎞, 1.0㎞, 2.0㎞, 5.0㎞ 이내 지역과 주변 수계, 기상관측소 등이 감안됐다.
평가 항목으로는 ‘자연환경 보전’으로 생물다양성·서식지 보전(동식물상, 자연환경자산), 지형 및 생태축의 보전(지형‧지질), 주변 자연경관에 미치는 영향(경관), 수환경의 보전(수질) 등 4개 항목이다.
‘생활환경의 안정성’은 2개 항목으로 환경기준 부합성(기상, 대기질, 악취, 온실가스, 토양, 소음‧진동, 위생‧공중보건)과 자원·에너지 순환의 효율성(친환경적 자원순환) 등을 평가한다.
‘사회·경제환경의 조화성’에 대해선 환경친화적 토지 이용, 인구, 주거, 산업 등 4개 항목에 대해 분석한다.
소각 수단과 방법은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에 적용이 가능한 방법 중 화격자방식, 유동상방식, 열분해융용방식 등을 대상으로 비교‧검토된다.
시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을 작성한 뒤 공람·공고를 거쳐 주민설명회를 열고 한강유역환경청과 협의에 나설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진행 중인 타당성 조사와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을 내년 4월까지 마치고 용역 결과에 따라 내년 6월 최종 친환경 자원회수센터의 적합 부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