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의회와 집행부의 ‘김포도시철도 민간 재위탁 동의안’의 사업운영비를 놓고 입장차로 논란(경기일보 13일자 5면)을 빚는 가운데 공공운수노조 김포도시철도지부가 김포시의 운영사업비 개선을 요구하며 집회에 나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김포도시철도지부는 14일 오전 조합원 3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불안한 민간위탁 반대와 적정한 운영비 확보’를 요구하며 1시간여동안 시위를 벌였다.
김포도시철도지부 측은 “김포골드라인 운영의 안정화와 불안정한 민간위탁을 해소하기 위한 투쟁이라 철도노조와 현안 사항이 달라 철도노조와 파업시기를 맞추지 않았다”며 “다음주부터 사측과 집중 교섭에서 진지한 대화를 통해 풀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포도시철도지부는 이날 집회에서 지난해 경기도와 김포시가 각각 전문기관에 의뢰해 실시한 용역결과와 올해 변화된 상황을 적용해 연간 350억원을 요구하며 이는 기초금액(공고금액)으로 낙찰하한율(87.5%)을 적용하면 306억원이라고 설명했다.
김포시는 내년 9월부터 5년 동안 운영할 운영사업비를 연간 330억원, 5년 동안 1천650억원(입찰공고가격) 등으로 계획해 시의회에 제출한 상태다.
김포도시철도지부는 기초 금액에서 20억원의 증액을 요구하는 이유로 김포시가 추진 중인 혼잡도 완화대책인 차량 6편성 증차(25% 증차)와 이에 따른 질서유지인력 비용과 공공요금 전력료 인상(지난해 대비 40% 이상)이 핵심이라며 김포시는 이를 전혀 반영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운영비 산출에는 직원 처우개선과 인력확충, 시설물 하자만료에 따른 중보수 비용도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력확충에 대해서도 김포시와 큰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도시철도지부는 “시가 40명 증원했다는 주장은 기본정원을 2016년 최초 계획시 226명을 기초로 산정한 결과로, 2019년 개통시 개통지연 사고때 삭정인력과 운행도중 늘어난 운행횟수와 관제 및 역무인력 등을 증원해 현재 정원은 246명이라며 김포시가 증원했다는 주장은 왜곡”이라고 주장했다.
도시철도지부 측은 또 전문기관 용역결과와 변화된 상황을 적용한 철도전문분야 보완을 감안할 때 연간 기계분야 32억원, 신호·통신분야 45억원, 차량분야 29억원, 전력요금 연간 58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김포시가 원가계산서를 공개하지 않아 비교할 수 없는 실정이라며 시의 원가계산서 공개와 분석을 촉구했다.
유성호 노조위원장은 “노조가 쟁의권을 확보하고 집회에 나서는 근본 목적은 김포도시철도의 안정적인 운행과 시민안전”이라며 “내년부터 증차되는 차량 6편성에 따른 인력충원, 운영비와 큰폭으로 오른 전력요금 등 최소한의 운영비 증액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