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특별시’를 지향하는 안양시가 각종 정책에 청년들의 목소리를 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 소관 위원회에 청년들의 비중이 매우 저조하기 때문이다.
시민의 여러 의견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위원회 위원을 다양한 연령대로 구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0일 안양시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시 소관 위원회는 총 177개이며, 위원수는 2천367명이다.
연령 구성비율은 20대 이하 15명(0.6%), 30대 100명(4.2%), 40대 344명(14.5%), 50대 1천348명(57%), 60대 이상 560명(23.7%)으로 구성됐다.
지난해 연령 구성비율인 20대 이하 13명(0.6%), 30대 57명(2.6%), 40대 339명(15.3%), 50대 1천239(55.9%), 60대 이상 567명 (25.6%)등과 비교하면 20대~40대 참여 비중이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관내 청년들의 유출을 막고 이들의 활동을 독려하기 위해 청년특별시라는 슬로건을 정하고, 청년 기본조례까지 제정했지만, 정작 시정 참여는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안양청년인재등록 플랫폼에 등록된 인재를 활용해 참여를 독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해당 플랫폼에 등록된 인재는 400여명이다.
곽동윤 시의원(더불어민주당·다선거구)은 “시민 의견하는 수렴하는 위원회에 청년층 참여가 매우 저조한 실정”이라며 “위원회에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것도 이해하지만 위원 중 20~40대층의 비중을 늘려 다양한 연령층이 시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안양청년인재등록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연령층이 위원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